교육일선현장에서 연구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거두기 위한 연구시범학교 운영 제도가 형식적으로 치우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교육일선현장에서
연구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거두기 위한 연구시범학교 운영 제도가 형식적으로 치우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는
연구시범학교의 경우 양적으로만 확산시켜 놓은 채 체계적 지도·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재
운영중인 도내 연구·시범학교는 교육부 지정 12개와 도지정 116개 등 총 128개(초등 62개교, 중등 66개)에
이르고 있어 도내 5개 학교당 1개꼴로 연구·시범학교가 운영,
10억원의 예산이 반영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영역은
평생교육을 비롯해 교육과정평가, 식생활개선, 교류체험학습, 흡연예방교육 등 다양하게 영역을 선택, 2년에 한번 정도
보고서를 내거나 실증수업을 실시하고 있다.이 가운데는 무리하게 학교에서 적용시키려 하거나 무엇을 위한 연구인지 두리뭉실한 연구 주제들도 많아 예산
및 시간낭비를 초래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학습지도
방법 개선 등 학교에서 실천 가능한 주제를 선택했더라도 그 성과물이 다른 학교는 물론, 해당 연구·시범학교에서조차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교육계
일각에서는 “실제 연구하지 않거나 실행하지 않은 내용을 짜깁기식 연구보고서로 제출하고 있다며 일부 학교의 잘못된 운영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교육당국은
연구·시범학교가 당초 취지에 맞지 않게 운영되고 있는 경우에도 실제 연구·시범학교 지정 취소 등 조치를 취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연구시범학교 운영제도가 똑같이 연구 점수를 부여하는 데 따른 나눠먹기식이며 보여주기식이 아니냐는 곱지않은 시선을 받고 있다.

연구·시범학교로
지정된 학교에 대해서는 전체 교사들에게 연구 점수가 부여됨에 따라 일단 지정만 받자는 분위기도 팽배한 실정이다.


전주시교육청
관계자는 “연구시범영역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우 관내 이동시 0.5점의 평점을 받게 된다면서 차등 점수 부여 등을 통해 당초 취지를 살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중에 있다”고 말했다.

/김복산기자 bskim@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