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 당선시] 시리즈










 [서울-이 당선시] 시리즈.

전북의 압도적인 민주당 지지에도 불구, 노무현 민주당 후보가 패배하고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가 향후 5년간 국가 운영을 맡게 됐다. 이에 따라 전북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정권재창출 실패라는 어두운 그늘과 새로운 정치체제 구축이라는 희망이 교차하고 있다. 민주당의 텃밭으로 여겨졌던 전북은 정권교체에 따라 정치 경제는
물론 사회 전반에서 상당한 변혁에 직면하게 됐다.

지난 5년간 한나라당
전북도지부는 ‘전북=민주당’이라는 고정 틀을 깨기 위해 힘겨운 선거운동을 펼쳐 왔다. 불모지로 불렸던 척박한 곳에 한나라당 간판을 내걸었고 특히 민주당 한나라당의 양당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헌신해 왔다. 앞으로
5년, 전북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정치권을 중심으로 전북의 미래를 조망해 본다. <편집자주>

1. 전환점 직면한
전북 정치권

민주당을 주축으로 하는 도내 정치권은 노무현
후보의 패배로 집권당의 위치에서 물러나게 됐다. 특히 개표 결과 도내 유권자들이 민주당을 압도적으로 지지했다는 점에서
이 같은 결과는 향후 5년간 전북에게는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우선 이회창 대통령 시대에서 가장 어려움이 예상되는
부분은 정부 부처내 인맥이 끊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특히 ‘중간허리가 없다’는
지적을 듣고 있는 전북출신 공직사회의 경우 그나마 기존의 인맥까지 불이익을 당할 수도 있음을 이번 선거결과는 의미하고 있다.

실제 과거 정권에서는 도내출신 공직자들이 적지
않은 불이익을 받아 왔고 일부 인사만 요직에 중용되거나 아니면 구색 맞추기로 발탁되는 사례가 많았다는 게 지배적 시각이다. 더욱이 이회창 대통령의 초대 조각(組閣)에서 도내 인사들이 배제될 가능성도 높아 앞으로 국가 예산 확보나 기타 중앙연관
지역사업 추진에서 어려움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결국 “정치보복은 않겠다”는 이회창 당선자의 공약이
그대로 지켜질 것인지가 최대 관건인 셈.

이와 함께
10명에 불과한 지역구 국회의원의 파워도 급격히 약화될 전망이다. 이 정도 수로는 중앙에서 ‘전북몫 찾기’ 목소리를 내는 데 한계가 있고 자칫 소수파로 전락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나라당 전북도지부는 도내에서 양당 체제를
구축하는 대전기를 마련하게 됐다. 과거 단 한 석도 없었던 한나라당의 지역구 국회 의석은 차기 17대 총선에서는
비례의원의 배출은 물론 지역구 의원의 탄생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이원창 김정숙 등 도내출신 의원이 전북의 공식적인 창구가 되면서 이들의
위상이 강화될 전망이다.

한편 도내 일각에서는 이번 선거를 기점으로 일당
체제가 사라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제 국회의원-광역·기초단체장-시도의원에 이르기까지 대다수가 민주당 일당 체제로 구축되면서 이에 따른 폐해가 적지 않았고 또 마땅한 견제세력이 없었다는
지적이 상당했었다.

따라서 적절한 견제세력이 있는 양당 체제가 전북
정치권의 발전을 위해서는 더욱 바람직하다는 여론도 많다. 여기에 민노당도 일정부분 득표함으로써 도내 정치권은 기존의
일당체제가 해체되게 됐으며, 명실상부한 양당체제로 전환하게 됐다. /서울=김일현기자 cindy@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