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무현 시대, 시리즈-2










 [서울] 노무현 시대, 시리즈-2

 16대 대선이 민주당 노무현 후보의 승리로 끝나면서 정치권의 촉각은 17대 총선으로 급격히 이동하고 있다. 지역구
의원은 물론 비례대표 의원들 그리고 여의도를 향한 입지자들간의 경쟁이 본격적으로 점화할 시기가 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민주당 중앙당에는 20일부터 그동안 ‘못 보거나’ 또는 ‘소원했던’ 인물들이 급작스럽게 들락거리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정치권 최대의 관심은 현재의 소선거구제가 유지될 것이냐 하는 부분.

 이와 관련해서는 정가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노무현 후보가 대통령이 됐기 때문에 중대선거구제로 변경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있는가 하면 소선거구제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는 전망도 많다.

 우선 선거구제의 경우 노무현 당선자를 중심으로 한 민주당내 주류가 중대선거구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는 것이
중요하다. 선거제도가 변경되면 전북 지역은 대형 선거구로 나눠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이렇게 되면 기존의 10개 선거구가 대폭 줄어 들어,
기존에 비해 엄청난 입지자들이 출마하게 되며 중진 의원들이 유리한 것은 물론이다. 실제 중진의원들 상당수는 소선거구제보다는 중대선거구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중대선거구제 전환에 합의할 것인지는 미지수다. 외형적으로는 돈 안드는 선거를 치를 수 있는 중대선거구제를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소선거구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탐문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거구 전환 여부는 사실상 한나라당이 ‘키’를
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노무현 당선자가 혁신적인 정치개혁을 실시하고 이 과정에서 정계개편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 한나라당 국회의석의 숫적 우세가 계속 유지될 지는 미지수.

 한편 선거구제 변경 여부와 함께 관심을 모으는 것은 ‘누가 공천권을 쥐느냐’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제시되고 있지만 일단 차기 당수(黨首)의 손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노무현 당선자가 사회 전반에 걸쳐 강력한 개혁 드라이브를 펼치게 되면 당 대표의 영향력이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이다. 노 당선자가 당정분리 원칙을 내세운 것도 이같은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노 당선자가 민주당을 친정 체제로 구축하게 되면 공천권은 ‘노 당선자의 손에’ 또는 ‘노 당선자 측근’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경우 김원기 고문을 비롯한 최측근들의 영향력이 절대적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전망이다. /서울=김일현기자
cindy@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