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일기 종영의 아쉬움










전원일기 종영의 아쉬움

 

세상에는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간직할 만한 것이 있는가 하면 변화시켜야 마땅한 것들도 있다.

MBC-TV의 <전원일기>가 22년 2개월 간의 긴 시간을 뒤로하고 오는 12월 29일로
막을 내린다. 아마 TV 드라마 사상 이렇게 긴 세월 방영된 드라마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전원일기>가 이렇게 장기간 방영된 이유는
여러 가지이다. 점점 도시화되어 가는 시대에 고향의 정취와 점점 핵가족화, 개인화 되어 가는 현실에서 전통적인 대가족 제도와 공동체의 따뜻함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전원일기>는 우리 시대 가장 인간적인 아버지 상이라는 김회장(최불암 분)과 이해심 많고
인정 많은 한국의 어머니 상(김혜자 분)을 만들어냈다. 또한 어른들을 모시고 고향을 지키는 아들과 며느리를 통해 우리의 전통적인 효(孝) 사상을
보여주었다. 1980년 10월 첫 방송의 제목이 “박수칠 때 떠나라” (차범석 작, 이연헌 연출)였다. 오는 12월 29일 방송되는 마지막 회
제목은 “박수칠 때 떠나려 해도” (이은정 김인강, 황은경 작, 권이상 연출)라고 한다. 한결같은 모습으로 고향을 지키고 땅을 지키며 살아가고
있는 <전원일기>의 가족들이 박수를 받을 만 하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처럼 오랜 세월 시청자들의 박수를 받았던 <전원일기>가 막을 내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시청률 하락과 소재의 고갈이라고 한다. 시청자들이 외면하는 것은 재미가 없기 때문이다. 결국 드라마의 내용을 변화시키는데 실패했다는 판단이
<전원일기>의 종영 이유가 된다. 그러나 정말로 좋은 소재 찾기가 어려운 것일까? 소재 운운하는 것은 <전원일기>가 갖고
있는 리얼리티를 다루는 방식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이다. 계속해서 농촌의 현실을 차분하게 그리는 것으로 이 시대의 리얼리티를 보여준다고 믿는다면
그것은 참으로 안일한 자세이다. 이 시대에 농촌은 도시와 무관할 수 없다. 농촌의 현실은 이 시대의 여러 정치적 문제와 사회적 문제의 무풍지대가
아니다. 또한 농촌의 현실은 농촌에서 사는 남성의 현실 일 뿐 아니라 여성의 현실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전원일기>는 거의 남성적 시선에서
바라본 농촌 현실이었다.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남성의 역할과 여성의 역할을 엄격히 나누어 이를 효도와 예절로 미화시켜 왔다.

최근 한 결혼정보회사가 미혼 남성을 대상으로 ‘영부인에 가장 어울리는 연예인’을 묻는 인터넷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 조사에서 <전원일기>의 맏며느리 고두심씨가 1위로 선정되었다. 특정인들에게 실시한 여론조사를 마치 한국남성들의 여성관인 듯 일반화하여
성적인 이데올로기를 고착화시키는 결혼정보회사의 상업적 의도가 없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드라마의 인물이 젊은 남성들의 이상적인 여성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는 사실은 <전원일기>의 위력을 가늠할 수 있는 좋은 대목이다.

<전원일기>를 여성의 입장에서 소재를 찾는다면 앞으로도 소재는 무궁무진할 것이다. 우리네
삶과 동행한 드라마가 극 중 인물을 그려내는데 있어서 20년 전과 크게 다르지 않는 인물만을 그린다면 이는 분명 시대에 뒤떨어진 드라마임에 틀림없다.
시청자들과 함께 살아 온 드라마가 현실에 뒤떨어진 드라마란 오명과 함께 막을 내린다는 것이 씁쓸하다. 세상의 온갖 변화에 부딪히면서 변화해 가는
인물들을 그려낸다면 앞으로도 계속해서 시청자들과 함께 살아가는 드라마로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정동란 문학박사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