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초중학교들 상당수가 장애우 교육을 목적으로 특수학급을 설치 운영하고 있지만 정작 장애학생들을 위한 편의시설은 갖추지 않고
있어 이름뿐인 특수학급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도내 초중학교들 상당수가 장애우 교육을 목적으로 특수학급을 설치 운영하고 있지만 정작 장애학생들을 위한
편의시설은 갖추지 않고 있어 이름뿐인 특수학급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21세기 복지공동체사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학교부터 장애우 편익시설을 앞장서 확충하고 더불어사는 문화를 조성해 나가는 것이 시급하다는 여론이다.

도내에서 특수학급이 설치 운영되는 초중학교는 167개교로 모두 900여명의
장애학생들이 수업을 받고 있다. 나머지 수천여명의 장애학생들은 장애우 전문학교에 다니거나 집에서 부모들에 의해 기초교육만을 간신히 수행하고 있을
뿐이다. 특히 고등학교 과정에는 그나마 특수학급조차도 두지 않고 있다. 한마디로 정상적인 학생과 장애학생들이 함께 어울어지는 교육은 없다는 얘기다.

더 기가막힌 것은 특수학급을 운영중인 초중학교들의 장애인 시설은 화장실
56개교, 복도 손잡이 26개교, 진입로 경사로 설치 36개교에 불과할뿐 대부분은 그 어떤 장애인 편의시설도 갖추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각학교마다
표준교육비로 예산이 지원되는 점을 감안할 때 학교장의 의지만 있다면 장애학생의 편의시설을 얼마든지 갖출 수 있는데도 방관만 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까움을 더해 준다.

얼마전 일부 대학에서 시각장애인의 원서접수를 거부했는가 하면 불합격 처리를 해 장애우에 대한 교육계의 편견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우리 모두는 어쩌면 예비 장애인이다. 국내 재가(在家) 장애인 134만여명중 89%인
119만3천여명이 교통사고나 질병 등에 의한 후천적 장애인인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도로나 공공시설 등에서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을
찾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진정한 복지국가의 건설은 장애우를 비롯해 누구도 차별받지 않고 함께 더불어사는 공동체 사회가 이뤄질때만이 가능하다.

장애우도 정상인들과 똑같은 학업과 사회생활을 할 권리가 있다. 학교교육에서도
등돌리는 장애우들이 사회에서 환영받기란 기대하기 힘든 일이다. 교육부를 비롯한 전북교육 당국의 특수학급 운영학교에 대한 적극적인 예산지원 정책이
서둘러져야 한다. 학교시설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의무화와 함께 장애인도 의지에 따라 일반학교 입학이 차별받지 않도록 반드시 법적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어야
마땅하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