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가 남긴 전라도 금석










추사가 남긴 전라도 금석

 

추사의 고증학과 서법

추사는 일찍이 북학파의 일인자인 박제가의 눈에 띄어 어린 나이에 그의 제자가 되었고, 그로 인해 그의 학문 방향은 청나라의 고증학 쪽으로 기울어졌다. 24세 때 아버지가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갈 때 수행인으로
연경에 가서 옹방강․완원 등과 교분을 맺어 경학과 금석학 등에 대한 담론을 하였다. 이 시기의 연경학계는 고증학 수준이 최고조에 이르러 점차 난숙해갔고, 종래 경학의 보조학문으로 존재하였던 금석학․사학․문자학․음운학․천산학․지리학
등의 학문이 모두 독립적인 진전을 보였다.

그 가운데서도 금석학은 문자학 및 서예사의 연구로 독자적인 분야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그는 경학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귀국 후에는 금석학연구에 몰두하여 금석자료의 수집과 보호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북한산순수비를 발견하고 ‘예당금석과안’ ‘진흥이비고’와
같은 역사적인 저술을 남기게 되었으며 깊은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 금석학파를 성립시켰다.

또 그는 무엇보다도 예술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예술은 시․서․화
일치사상에 입각한 고답적인 이념의 구현으로 고도의 발전을 보인 청나라의 고증학을 바탕에 깔고 있었다. 그래서 종래
성리학을 바탕으로 독자적 발전을 보여온 조선 고유의 글씨와 그림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비판적 태도를 보였다. 이는 바로 전통적 조선성리학에 대한
그의 학문적 태도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그의 서론의 연원을 살펴보면 그가 연경에 간 것이 큰 계기가 되었다. 즉 연경에서
명유들과 교유하고 거기서 많은 진적을 감상함으로써 안목을 일신(一新)한 것이다. 즉 옹방강과 완원으로부터 금석문의 감식법과 서예사 및 서법에 대한
전반적 가르침의 영향으로 서예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게 되었다. 그는 옹방강의 서체를 따라 배우면서 그 연원을 거슬러 올라가 조맹부․소동파․안진경
등의 여러 서체를 익히고, 다시 소급하여 한․위 시대의 여러
예서체에 서예의 근본이 있음을 간파하고 고법을 익히는데 부단히 심혈을 기울였다.

이후 모든 서체의 장점에 대한  보다 나은 독창적인 것을 창출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졸박청고(拙朴淸高)한 추사체이다. 추사는 글씨 이외에 난을 잘 쳤는데 난 치는 법을 예서 쓰는 법에 비겨서 말하고, 또는 문자향(文字香)과
서권기(書卷氣)가 있는 연후에야 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의 작품 중 국보인 세한도와 모질도․부작란도가 매우
유명하다. 또 그는 별호가 많고 전각을 많이 하였는데 전각에 있어서의 그의 각법(刻法)은 매우 독특하여 하나의 경지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추사의 간단한 생애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1786-1856)는 조선이 낳은 문학자․실학자․서화가로
본관은 경주인이다. 자는 춘원(元春)이고 호는 추사(秋史) 완당(阮堂) 예당(禮堂) 시암(詩庵) 노과(老果) 등
200여 종류가 넘는다. 추사는 예산 출신으로 병조판서 김노경(金魯敬)과 기계유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나 백부인 김노영에게 출계하였다.

  1819년(순조 19)에 문과에 급제하여
암행어사․예조참의․설교․검교․대교․시강원보덕을 지냈다. 그러나 1830년 생부 김노경이
윤상도의 옥사에 배후조정됐다는 혐의로 추사는 고금도로 유배되었으나, 순조의 특별 배려로 귀양에서 풀려나 판의금부사로 복직되고 추사도 1836년에
병조참판․성균관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그 뒤 1834년 순조의 뒤를 이어 헌종이 즉위하여 순원왕후
김씨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자, 그는 다시 10년전 윤상도의 옥사에 연루되어 1840년부터 1848년까지 9년간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그 뒤 추사는
현종 말년에 귀양이 풀려 돌아왔으나, 1851년 친구인 영의정 권돈인의 일에 다시 연루되어 또 함경도 북청으로 유배되었다가 2년 후에 풀려났다.
이때는 안동 김씨가 득세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정계에 복귀하지 못하고, 아버지의 묘소가 있는 과천에 은거하면서 학문 정진에 몰두하였다.

추사가 귀양길에 전라도에서(유배지에서 새롭게 태어난 추사체)

추사는 헌종6년(1840) 6월 동지부사로 임명되었으나 윤상도 옥사에 관련되어
제주도로 귀양가는 길에 전주에 들르게 되었다. 그 때가 정확하게는 알 수 없으나 9월을 지날 무렵으로 온 산은 만산홍엽이었다. 추사는 창암을 전라감염에
청하여 만나고는 남원으로 향하였다.

남원에서는 물론 아무리 귀양길이지만 광한루도 보았을 것이고, 그 곳에서 ‘모질도’를
제작하게 된다. 이 그림의 소재는 성난 다람쥐로 발문에는 ‘耄耋圖作於帶方道中(모질도를 대방 길에서 그리다)’이라고 썼다.

이 다람쥐 그림은 남원을 지나면서 그린 것으로 아마도 추사 자신의 억울함과 귀양가는 심사를 은유적으로 표현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마치 다람쥐인가 언뜻 보면 아주 화가난 고양이와도 같은 느낌을 그림에서 받을 수 있다. 

추사는 남원을 지나 땅끝 마을이 있는 해남 대흥사(구명은 대둔사)의 일지암으로
향했다. 비록 유배가는 길이지만 평소에 잘 알고 있는 초의선사를 만나기 위해서다. 이윽고 대흥사에 도착하여 원교가 쓴 ‘침계루’ 누각과 대웅전의 ‘대웅보전(원교가 신지도에 유배와서 쓴 글씨)’이라는
편액을 보고는 마음이 뒤틀려 초의선사와 차를 마시면서 원교의 ‘대웅보전’편액을 떼어내라고 청하였다. 이유인즉 원교는 조선의
글씨를 다 망치는 사람이고 글씨에 속기가 있어서 법당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추사는 지필묵을 가져오게 하여 자신만이 최고라는 상태에서
‘대웅보전’의 4글자와 바로 옆 선방의 ‘무량수각’ 편액을 써주었다.

추사는 대흥사에서 초의와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눈 다음 완도에서 배를 타고 제주도 화북진으로 향한다. 화북진에 도착하여 유배지인 대정읍성에 가시나무 울타리를 치고 유배생활을 시작하였다.

추사는 제주도에서 학문에도 물론 열정을 다했지만, 더 나아가서 서법과 화법연구에도
온 정성을 쏟았다. 그래서 서울 본가댁으로 편지를 해서 유석암 소동파 성친왕 요희전 양동서의 필첩을 가져오게 하여 연구하기 시작했다. 오직 괴로운
마음을 표현 할 길은 글씨와 그림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제주도의 모진 풍파를 이겨내고 또 이겨내 마침내 추사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추사체가 형성되는
계기는 글씨 형태의 변화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추사의 마음이 완전히 추기급인(推己及人: 자기를 미루어 다른 사람의 생각에 미치는 경지)하는
상태가 되었던 것이다.

추사는 드디어 제주도 귀양살이를 마치고 다시 대흥사에 들러 자기가 써 준 ‘대웅보전’ 편액을 보고는, ‘역시 원교의 글씨가 낫다’고 하면서 다시
원교 글씨를 걸어 놓았다. 추사는 이미 귀양살이 가기 전 자기도취의 모습이 아니라, 세한을 이겨낸 노송이 되었던
것이다. / 김진돈 <전라금석문연구회 연구원>

 

추사가 남원(대방은 남원의 구명)을 지나가면서 그린 ‘모질도’이다.

추사가 제주도 귀양살이 가기 전에 대흥사에 들러 원교의 글씨 ‘대웅보전’편액을
뜯어낸 작품이다. 그렇지만 추사가 유배지에서 풀려날 때 다시 걸라고 하여 지금은 대흥사에 걸려있다. 

대흥사에서 추사가 초의선사에게 써준 ‘무량수각’의 편액이다.

대흥사에 있는 ‘일노향실’의 추사 편액

임실에 있는 효충서원의 추사편액이다. 작은 월석비도 추사가 직접 썼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