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下> 가족해체의 예방과 대책










<下> 가족해체의 예방과 대책

 

가족문제는 더 이상 가정 안에 머물 수 있는 단계를 넘어섰다. 사회 문제의 한
영역으로 사회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혼에 대한 시각도 변했다. 과거 이혼은 사회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장애의 한 부분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이혼율은 세계적으로 상위권에 들만큼 빈번해졌다.

이혼율을 억제하는 예방책은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이제는 이혼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만큼 이혼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이혼 후의 사후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이혼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가 중 3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혼 예방 및 이혼적응을 위해 필요한 상담기관이나 심리치료기관 등은 미미한 상태다. 또 사회복지 서비스 차원에서 이런 기관을 만드는
것은 이혼율을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또 가정폭력도 사회문제화 된 지 오래다. 아내와 아동에 대한 폭력과 학대가 그동안
관대했던 것도 사실이다. 폭력에 대한 문제의식을 하루 빨리 가져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폭력은 어떤 상황에서든 정당화 될 수 없으며
인권유린행위라는 의식 전환이 급선무다.

가족관련 전문가들은 가족생활교육을 가족해체 예방책의 하나로 제시한다. 결혼을 앞둔
미혼 남녀를 위한 결혼준비교육, 가정을 이루고 사는 부모들을 위한 아버지교육, 어머니교육 등 건강한 가정을 유지하기 위한 지원과 가족강화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위기의 가정은 가족상담 등을 통해 파괴적인 파행을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는 것. 이혼이 불가피 할 경우 아동 양육과 같은 아동복지에 초점을 맞춰야 아동유기 및 학대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 가족형태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도 필요하다. 한부모가족, 독거노인가족, 소년소녀가족
등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며 이들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정책도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 같은 목소리다.

우리 사회에서 가장 눈에 띄는 가족형태 중의 하나는 한부모 가정이다. 도내 지역의
한부모 가정은 5천294세대 1만4천788명(모자 4천186세대, 1만1천701명, 부자 1천180세대, 3천87명)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신 가족형태에 대한 우리 사회의 편견은 여전하다. 이로 인한 고통을 가장
많이 호소하고 있다.

이성희 교수(우석대 가족복지학)는 “가족에 대한 사회의
고정관념을 깨는 작업이 왜 시작되어야 하며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절실한 실정”이라며 “결손가정이나 불완전한
가정이라는 용어는 많은 한부모 가족의 성공적인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격인 만큼 누구보다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 환경 조성이 위기의 가정을
살릴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끝>

/최규호기자 hoho@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