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제목 -- 대선결과 분석 세대










 
칼럼-- 제목 -- 대선결과 분석 세대. 이념론 신중해야

         부제---1. 호 영남 투표성향 우선
분석 필요

               
2. 혐오스런 정치에 대한 반발일 뿐

 16대 대선 결과가 지나치게 세대 및 이념에 맞추어져 논의되고 있다. 특히 2~30대와 진보세력의 역할론에 과도하게
힘을 실어주는 경향이어서 자칫 이것이 향후 세대간의 갈등 원인으로 까지 작용할까 우려된다. 그리고 개혁에 대한 기대를 진보적 성향으로 규정하고
있기까지 해 자칫 개혁과 진보를 동질적 의미로 왜곡케 할 우려마저 있다. 우리가 바라는 개혁은 진보라기보다는 잘못된 구조나 비리적 현상을 타개해내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할 것이다. 그런데 개혁을 지나치게 진보적 성향으로 이해하는 움직임이 짙어 자칫 이념적 갈등을 부채질 하면서 개혁에 대한
걸림돌로 작용할까 우려되기 까지 한다. 그리고 5~60대를 거추장스러운 존재로 전락시키며 세대간의 갈등과 단절을 당연한 현상으로 비치게 하기도
한다.

 과연 대통령선거의 결과가 
2.30대와 진보세력에 의해 좌우됐다고 단정할 근거는 있는 것인지. 그리고 이 경우에는 호남과 영남지역의 유효표에 대한 분석은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호남에는 대부분 2~30대와 진보세력들만 존재하고, 영남에는 과반수가 5~60대와 보수 세력들만 살고 있단 말인가. 대선 결과가
2~30대와 진보세력에 의해 결론 났다는 분석에 지나치게 경도되다 보니 영 .호남 투표의 의미는 그것이 긍정적이던 부정적이던 실종돼 버린 상태이다.

 이번 선거에서 전국유효표의 36%를 웃도는 영.호남 지역의 8백90여만 표는 사실상 진보나 보수적 성향에 의해
갈렸다 할 수 없다. 호남지역의 유효표의 93.38%에 이르는 2백75만여 명의 노무현 후보 지지자들을 진보세력이나 2.30대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영남 유효표의 71.37%를 차지하는 이회창 후보 지지자 4백45만6천여 명을 보수 또는 5.60대 할 수 없다.. 이들은 세대와
이념의 차이보다는 정당 지지도라는 지역정서에 의해 갈렸을 뿐이다.

 호남 영남의 유권자 성향을 배제 한 채 선거 결과를 일방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큰 착오이다. 노무현 당선자가 전적으로
2.30대의 지지를 받았다는 근거가 어디에 있는지 분명히 밝히고 이 같은 논의를 해야지 ‘그럴 것이다’라는 개연성에 매달려 이를 기정사실화 하려는
움직임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이는 자칫 세대간 격차를 부추길 뿐이다.

 더군다나 2030세대에게는 순수성을 부여하고 5060세대에는 진부성을 강조하는 형식의 논리라면 더욱 안될 일이다.
이를 말하려면 호남의 전체 유효표 2백90만여 표와 영남의 6백만여 표에 대한 의미를 확실히 짚고 이에 대한 별도의 분석대책을 마련한 후에야
2030론이나 진보론을 논해야 한다.

 비록 이들 지역의 투표 성향이 전과 다른 양상의 몰표형식으로 나타나긴 했지만 역시 지역정서에 의한 것은 마찬가지
이다. 전과 같은 지역출신 위주의 지역정서가 아니라 그동안 정서상으로 동질감을 가져온 정당에 대한 지지형식으로 몰표가 쏟아진 것이다. 민주당은
호남지역을 근간으로 지탱해왔고 영남에서는 한나라당에 지역 연고를 부여해온 터이니 그대로 표 성향이 나타난 것일 뿐이다.

 선거양상이 출신지 위주의 지역정서에 의존하는 경향을 벗고 있다는 데 초점을 맞추다 보니 세대나 이념이 부각되고
있다고 이해되는 바이기는 하다. 그러나 사실을 지나치게 왜곡하면서 까지 억지로 짜 맞추어서는 안 된다. 현실을 직시하는 것은 미래를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지금의 시점에서의 세대론이나 이념론은 현실을 의도적으로 외면하려는 자세일 뿐이다. 이 같은 분석으로는 우리의 잘못된
정치행태를 합리적으로 개선할 수 없다. 이번 대선의 결과는 진보나 보수 차원보다는 정치 혐오세력의 적극적인 반발로 봐야 옳다. 비리적 정치행태의
변화를 바라는 유권자들의 기대가 그대로 표현된 것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선거결과 분석은 진보나 보수의 차원으로 접근할 일이 아니라 정치개혁
차원에서 접근해야 옳다.

 진부한 정치행태의 변화를 기대하는 것이 진보는 아니지 않는가. 5060의 보수계층들도 정치개혁만은 바라는 바일
것이다. 이는 우리 정치가 그동안 얼마나 국민들로부터 외면당해 왔는가를 상기해보면 알 일이다. 또한 민주당도 한나라당도 진보를 표방한 적이 없다.
전자는 중도개혁을 후자는 중도보수를 표방해왔고 진보는 오히려 민주노동당의 외침이었다. 그런데도 노무현 후보의 당선을 진보세력의 승리나 2030에
의한 선거 개혁이라고 분석하는 것은 온당타 하기 어렵다.

 이번 대선 결과는 정치의 변화를 기대하는 국민적 요구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그리고 우리 정치의 변화는 정당구조의
개선, 명확한 3권분립 체제 확립, 헌법 정신에 충실한 대통령 중심제 그리고 정치권의 비리 배격 등에 맞추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고 세대나 이념적
관점에서 접근하려 한다면 자칫 우왕좌왕하다가 이도저도 이루지 못할 공산이 크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