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당의 ‘전북 싹쓸이’에 제동이 걸렸다.

18대 총선결과 도내 11개 지역구 중 무소속이 2곳을 차지함으로써 도내 정치 지형은 지난 13대 총선 이후 거듭돼 온 ‘일당 체제’에서 벗어났다 하겠다.

도내 총선은 일단 일당체제 붕괴라는 새 정치 지형을 낳았지만 아직 완결된 것은 아니다.

우선 무소속 당선자들의 복당 여부가 남아 있고, 당선무효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당선자가 없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총선은 선거법위반 건수가 과거에 비해 현격히 줄어 비교적 깨끗한 선거라는 평가가 뒤따르고 있지만, 검찰이 강한 척결의지를 보이고 있는 기부행위로 선관위에 의해 고발당한 사례가 있어 당선무효로 인한 재선거 가능성을전혀 배제하기가 아직은 이른 실정이다.

더군다나 당선자가 직접 개입한 사실이 드러나 문제가 여간 심각한 것이 아니어서 법적처리가 매듭 될 때 까지는 도내 총선결과를 완결판이라 하기에는 성급한 면이 없지 않다.

벌써부터 해당 지역에는 이번 총선에서 낙선한 비중 있는 정치인이 재선거를 기정 사실화 하면서 이 지역에서의 권토중래를 모색하고 있다는 설까지 떠돌고 있을정도다.

 어찌됐든 전북도민들은 이번 총선에서 특정당 위주의 지역정서를 유지하면서 야권으로 자리를 옮겨 앉았다.

지역주의는 전국적으로 이번 총선을 통해 한층 더 뚜렷하게 나타났기에 전북지역만의 현상은 아니다.

전북도민들은 여야의 선거쟁점으로 보면 야당의 견제론에 손을 들어준 것이다.

그러나 지역발전에는 상당한 부담이다.

여권에 속했던 노무현정권 때도 도내 현안 해결이 결코 쉽지만은 않았던 사실을 상기해보면 향후 전북발전에 대한 우려가 없을 수 없다.

총선 후유증으로 ‘전북푸대접’론이 고개를 들지 않길 바랄 뿐이다.

/전북중앙webmaster@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