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푸대접론호남푸대접론은 고려 태조 왕건이 작성한 훈요십조에서 기인했다는게 지금까지의 정설이다.

왕건이 비록 신라와 후백제를 멸망시켜 통일위업을 달성했다고는 하지만, 그 과정에서 후백제의 저항은 결코 만만한 것이 아니었다.

두려움과 경계의 대상으로 남아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왕건은 재위 26년째인 943년 4월, 후대 임금들이 지켜야 할 훈요십조를 주었다.

이 중 8번째 조목이 바로 백제출신들에 대한 대책이었다.

“차현(車峴) 이남과 공주강(公州江) 밖은산형과 지세가 모두 배역(背逆)하였으니 인심도 그러하다”로 시작되는 이 조문이 바로 치유불능의 망국요소가 되고 말았다.

여기서 바로 배역지로 지목한 ‘차현 이남과공주강 밖’이 충청·전라지역을 포괄한 것인지, 아니면 공주와 전주를 지칭한 것인지, 아니면 공주강 밖을 공주강 위로 보아 차령과 금강 사이의 홍성, 보령, 부여, 공주, 연기, 청주일대를 가르키는 것인지 알 수 없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전라도로 인식되고 말았다.

왕건이 백제출신들의 등용을 막기 위해 정치적인 술수로, 당시 크게 유행하던 풍수사상을 교묘히 이용했다고밖에 볼 수 없는 지침 하나가 천년세월을 두고 지역감정의 단초가된 점을 생각하면 어처구니없기도 하고 분통이 터지기도 한다.

물론 그 동안 훈요십조가 왕건과는 무관하며, 고려 현종 때 후백제계 인물들을 거세하기 위해 조작한 것이라는 등 여러 주장들이 없었던 건 아니지만 어느 경우든매우 잘못된 지침인 것만은 사실이다.

특히 정치적 음모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더더욱 그렇다.

지금의 지역감정도 거의 정치인들에 의해 부추겨지며 확대재생산된다고 봐야 한다.

그런데 소위 호남정권이라고 했던 김대중 정부를 거치고 노무현정부를 지나면서 ‘호남푸대접’은 ‘전북푸대접’으로 바뀌고 말았는데, 이명박 정부 들어서는 5+2인가 하는 광역경제권을 만들어 추진한다면서 전북권 개발을 완전히 묵살해 버렸다.

차별, 역차별로 날로 왜소화의 길을 걷는 전북에 정말 서광은 없는걸까. 결국 자강(自强) 뿐인데 그 자강의 길이 그저 까마득히 멀기만 하구나.

/전북중앙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