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광역경제권 독자권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 주목을 끈다.

이는 정부가 ‘5+2광역경제권’의 틀이 변경될 수 있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딱히 새만금을 갖고 있는 전북 외에는 독자권역으로 분류될 지역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특히 호남권인 광주전남에서 새만금을 보유하고 있는 전북이 독자권역으로 떨어져 나가길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는 점도 전북의 독자권역 분류에 무게를 실어주는 분위기다.

14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가 광주전남지역과 연계협력사업 발굴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최근 정부가 인수위 구상안인 ‘5+2광역경제권’이 변경될 수 있다는 발언을 했다.

이에 도는 기 광역경제권역에 대한 연계협력사업 발굴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도 독자권역으로 분류됐을 때에 대비해 장단점 분석작업에 본격 착수키로 했다.

전북이 독자권역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가 계속되고 있어서다.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로는 지난 2005년도에 정부가 발표한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06~2020년)’이다.

수정계획 안에는 전국이 ‘7+1 권역’으로 분류돼 있다.

‘7+1 권역’은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광주권, 대구권, 부산권, 전북권 등 6개 권역에다 제주권 1개가 추가된 형태다.

수정계획 상 전북권 발전방향은 △새로운 국토축 형성에 부응해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연계 강화 △지역간 광역교통·물류체계 구축 및 지역정보화 추진 △지역산업구조 고도화 및 지역혁신 네트워크 구축 등이다.

당시 정부는 새만금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전북을 독자권역으로 분류해 자립지역으로 육성시킬 필요성에 무게를 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수정계획은 새로운 광역경제권 구상 안에서 전북이 독자권역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예측케 하는 근거가 되는 셈인 것. 하지만 전북이 호남권에서 독자권역으로 빠져 나오는 것이 유리할 지 불리할 지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도가 현재까지 독자권역에 따른 유·불리를 제대로 진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일각에선 “전북이 과연 독자권역으로 분류될 때 광역경제권 특별회계를 넉넉히 지원 받을 수 있을 지, 새만금사업이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 지, 부품소재산업 등 도의 각종 현안사업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을 지 등에 대한 면밀한 연구분석이 필요하다”며 “도는 모든 경우의 수를 치밀하게 분석해 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도의 한 관계자는 “광주전남지역과 연계협력사업 발굴에 나서왔지만 별다른 실적을 거두지 못했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며 “호남권에서 전북이 광주전남에 밀려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는 지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만큼 다각적인 분석을 실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6월 말께 광역경제권 세부추진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현철기자 two9496@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