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단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청년 일자리 창출사업이 겉돌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맞춤형기술인력교육사업을 통해 배출된 인력이 고임금을 찾아 대도시로 전직하는가 하면 교육대상자 부족으로 취업의사가 적은 주부 등이 교육대상자로 선정되는 등 전북도의 청년일자리창출사업이 각종 문제점을 드러냈다.

10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주시 등 5개 시의 15개 업체, 5개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청년일자리창출사업 추진실태 점검 결과 중소기업인력지원사업은 취업률이 61.7%에 불과하고 맞춤형기술인력교육사업은 80%로 조사됐다.

또 기초자치단체 대부분 중소기업인력지원사업은 확대하고 맞춤형기술인력교육사업은 축소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인력지원사업이 노동부 등 다른 고용지원제도보다 지원금이 많고 지원조건이 까다롭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인력교육사업은 교육 수료 후 도내 기업체에 취업해 경력을 쌓아 근무조건이 양호한 서울 등 수도권으로 전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도내 기업 임금수준은 수도권의 70% 수준이고 전국 16개 시도 중 15번째로 밑바닥을 맴돌고 있다.

이와 함께 교육대상이 부족하다 보니 주부나 병역미필자를 선정하는 사례도 적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인력지원업체와 교육기관 선정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 명시되지 않아 시·군에서 공개 경쟁이 아닌 임의로 선정할 우려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이럴 경우 교육과정이 부실하게 운영될 소지가 높다.

또 담당공무원의 잦은 교체에 따른 전문성 부족으로 부적격업체를 재차 선정하는 사업의 효율성 저하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인력교육사업은 군산시를 제외한 교육수료자 취업률이 저조한 데다 취업 후 보수 등 불만으로 전직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노동부 고용촉진훈련과 교육직종 등 사업내용이 유사해 교육지원자수가 적어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치단체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등 전북도의 청년일자리창출사업에 대한 재검토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이번 추진실태 점검 결과를 토대로 자치단체별 사업비 배정 조정과 추진지침 개정 등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최규호기자 hoho@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