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예산의 성공적 확보 및 전북 현안의 차질없는 추진을 위해선 전북도의회의 역할이 크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북도와 정치권이 새해 예산 확보 등을 위해 총력전을 전개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의회 역시 전북 예산 활동에 큰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 즉 전북도의 예산 활동이 체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지 또 어느 정도 성과가 도출됐는지를 면밀히 체크한 뒤, 협조할 부분은 최대한 협조하고 견제해야 할 부분은 강력하게 추궁해야 한다는 것이다.

도의회의 역할이 강조되는 것은 18대 국회에서 민주당이 야당이 되면서부터다.

도내 정치권 위상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면서 전북도의 상경 활동이 더욱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18대 국회에선 민주당이 제1야당이 됐고, 설상가상으로 20일 현재 국회 상임위조차 구성되지 않은 상태여서 국회의원들이 할 수 있는 역할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결국 도가 중심이 돼서 예산 활동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기획재정부 1차 심사를 예로 들면 현 시점에서 확보 가능한 전북 관련 예산은 대략 3조3천억원대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목표액 4조원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정치권의 힘으로 최대한 부족한 예산을 보완해야 하지만, 민주당이 야당이 된 데다 각 부처에서 예산이 상당부분 미반영 또는 삭감됐다는 점에서 예산 보충이 쉽지 않은 상태다.

이와 관련해 전북도의 예산 활동이 보다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는 주문이다.

 전북도-도내 의원간 협조 체제 구축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다양한 협력창구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례로 전북도-도내 의원 모임 이외에 △전북도-범전북권 의원 △전북도-한나라당 국회의원 보좌진 △전북도-비례대표 의원 모임 등 창구를 최대한 다양화하는게 바람직하다.

실제 기획재정부에 도내 출신이 드물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한나라당 의원 보좌진들이 우호적 역할을 할 수 있다.

비례 대표 의원 역시 확실한 지역구가 없다는 점에서 도가 어떻게 활동하느냐에 따라 우군으로 만들 수 있다.

 도내 출신이 숫적으로 적다면 여타 지역까지 활동 영역을 넓힐 필요가 있는 것.   한편 김완주 지사를 필두로 한 도 고위인사들은 이번 주부터 대거 상경 활동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도의회 역시 본연의 자세인 견제와 협력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상경 활동을 펼치는 도 고위인사들이 예정된 일정 및 역할을 충분히 소화했는지, 누구를 만나 예산 활동을 펼쳤는지를 '도의회 권한' 내에서 조목조목 면밀하게 체크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도의회가 전북 발전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지, 도민들이 예의주시하고 있다.

/서울=김일현기자 khein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