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원기자
 요즘 부안군의 경제가 수상하다.

도로가 뚫리고 수십 년 만에 변산해수욕장이 정비되는 등 겉으로야 잘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는 부안군에 먹구름이 일고 있다.

그것은 부안군청 발 먹구름 탓이다.

‘잘 되면 내 탓, 못 되면 네 탓’이기 때문에 잘못도 없는 부안군청 직원들을 물고 늘어지는 것이 아니다.

전체 부안군 공무원 약 700여명 중 가족과 함께 실제로 부안군에 거주하는 공무원은 300여 명에 불과하다는 지적에서 비롯되고 있다.

무려 400여 명에 가까운 직원이 외지 거주자로 알려지고 있어 가히 ‘충격적이다’ 할 수 있다.

물론 부안군청에 근무하는 외지 거주 공무원들의 주소는 대부분 부안군으로 돼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무는 부안군에서 하면서 외지에 주소지를 두는 것은 눈치가 보이기 때문에 주소지를 부안군으로 해놨을 것이다.

그러나 가족들은 교육과 문화적 이유를 들어 전주 등 외지에 거주케 하고 있으며 본인 또한 실제로는 출․퇴근 하고 있다는 것은 알만한 부안군민들은 다 알고 있는 공공연한 비밀이다.

민선 4기 들어 부안군은 오랜 방폐장의 시련을 딛고 경제 살리기에 매진하고 있다.

난산 끝에 선출한 김호수 군수를 중심으로 ‘한 번 해보자’는 분위기가 부안군을 흥분시키고 있다.

그러나 정작 개발의 주체로서 부안군 경제 살리기에 모범을 보여야 할 공무원의 다수가 외지로 출퇴근하며 경제를 유출시키고 있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

년 200억원의 급여 유출이 문제가 아니다.

군민들의 사기가 저하되는 것이다.

밤과 낮의 시내 분위기는 너무도 극명하게 갈린다.

점심시간을 전후로 요즘 날씨만큼이나 뜨겁던 부안 시내는 공무원들의 퇴근과 함께 썰렁한 광경을 매일 되풀이 하고 있다.

이대로는 부안군의 미래가 어둡다.

공무원 또는 공직자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일을 위해 존재하며 또한 어느 정도 자기희생도 감수할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한다.

무조건 ‘희생하라’는 소리는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노력하는 모습은 보여줘야 한다.

퇴근과 함께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행렬은 지양되어야 한다.

적어도 일주일에 절반 정도는 지역 경제를 위해 부안군 관내에 남아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김호수 군수 또한 이런 형편을 잘 알고 있다.

그렇다면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

잘 한 사람에게는 상을, 못한 사람에게는 제재가 가해지는 ‘신상필벌’의 원칙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김 군수는 ‘부안군민을 위해 열심히 일을 할 테니 표를 달라’고 했기 때문이다.

부안군민은 그 말을 믿고 김 군수를 선출했다.

그렇다면 김 군수는 부안군과 군민만을 바라보며 군정을 펼쳐야 한다.

군청 직원들의 ‘부안군 살리기 동참’에 대한 가장 큰 책임이 바로 군수 자신에게 있음을 생각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