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군수 전주문인협회 회장

덕진연못에 갔다.

비가 오는데도 휴일이라서 그러는지 연못은 사람들로 가득 찼다.

오는 사람 가는 사람, 어린이, 학생, 연인들, 노인들 할 것 없이 색색의 우산을 받쳐 들고 밀고 밀리며 흔들리는 구름다리와 연화교를 건너고 있었다.

연꽃과 우산꽃으로 덕진연못은 빗속에 잔치를 벌이고 있었다.

나도 우산 속의 행렬이 되어 연못을 돌았다.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옆 사람의 옷을 적셔도, 어깨와 몸을 부딪쳐도, 뻥튀기 장수와 번데기 장수가 길을 막아도 탓하는 사람이 없었다.

흙탕물이 바짓가랑이에 튀겨도 눈을 흘기는 사람이 없었다.

사람과 사람들 사이에서 이렇게 부대끼면서도 마음이 여유로운 것은 덕진연못을 충만하게 만든 물과 연꽃 때문이리라. 오랜만에 맛보는 해방감이었다.

다른 사람들과 내가 이렇게 가까이 있다는 것을, 같은 길을 이렇게 편하게 걸어갈 수 있다는 것을 몸으로 깨달았다.

덕진연못에 와서 나는 정말 무질서의 자유로움을 느꼈다.

그리고 시선만 부딪쳐도 거북해지는 세상에서 내가 얼마나 옹색한 마음으로 나를 가두고 살았는가를 발견하였다.

동반자라는 의식이 인생을 얼마나 여유롭게 하는가를 알았다.

연못에는 이제 막 태어난 간난아이 손만한 작은 봉오리에서부터 동자스님의 합장한 손 같은, 성자의 웃음 같은 꽃들이 층층이 키를 세우며 자라고 있었다.

벌써 꽃잎이 다 떨어져서 주먹을 불끈 쥐고 연실을 익혀가는 것도 있었다.

연못을 돌 때 무언의 배려로 서로 감싸고 이해했던 것처럼 연꽃들도 서로를 껴안고 자라고 있었다.

크거나 작거나 구애됨이 없이 질서와 조화를 이루며 하나의 세상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연못에서 또 하나의 우주가 만들어지고 있었다.

 비가 와도 연꽃 향기는 가슴 깊이 스며들었다.

수천 마리 새가 군무하듯 연꽃은 하늘을 향해 날개를 펴고 있었다.

나는 한 바퀴를 더 돌고서야 겨우 연화정 난간에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연잎에 지는 빗소리가 들렸다.

무엇인지도 모르고 하늘에서 내려오다 연잎에 떨어져서야 비라는 것을 알았다는 듯, 연못 가득 좁쌀 같은 생명의 소리를 퉁기며 내리고 있었다.

또르르 또르르 빗방울은 굴러 연잎 가운데로 모이고 있었다.

빗물이 고여 무거워지면 연잎은 몸을 숙여 비워내고 있었다.

그 옆에 있는 연잎도, 덕진연못 연잎이 모두 자기를 비워내고 있었다.

비우고 나서 가벼워진 연잎은 또 빗물을 받고 있었다.

비우지 않고서는 다시 채울 수 없음을 나에게 보여주고 있었다.

나를 돌아보았다.

내가 무엇을 비울 것이 있단 말인가? 비울 것이 무엇인지 모르는 내가 부끄러워졌다.

내 안에 무엇을 감추고 살았는지도 모를 만큼 자신을 돌아보지 못한 무지가 부끄러웠다.

연잎은 빗물을 다 비워내지 않았다.

자세히 보니 몇 방울의 물이 남아 있었다.

차마 다 비워내지 못하고 남겨둔 것은 내 진실까지는 버리지 말라는 의미가 아닐까? 진실을 버리면 자신을 버리는 것이다.

자신을 버리면 세상에 무엇이 남는단 말인가? 비움과 남김의 역설을 나에게 물으며 덕진연못을 나올 때도 비는 여전히 내리고 있었다.

나오는 사람보다 들어오는 사람이 더 많았다.

전주에 살고 있다는 것이 행복하다는 듯 색색의 우산을 받쳐든 사람들이 연꽃을 보려고 모여들고 있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