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공기업 선진화 방안에 따라 주공과 토공의 통·폐합이 예정된 가운데 통합기관 입지는 혁신도시 본래 취지인 낙후지역 배려보다는 새정부의 키워드인 ‘실용성 논리’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 제기되면서 그에 따른 전북도의 대응전략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김완주 지사는 5일 지역발전정책 포럼 참석차 도를 방문한 최상철 국가균형발전위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주공과 토공의 통합이 불가피하다면 상대적으로 낙후된 전북으로 통합기관을 이전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최 위원장은 “통합기관 이전에 지역의 낙후도가 입지 선정의 기준이 될 수는 있지만 낙후도에 대한 절대적 기준이 없다”고 밝혀 낙후지역 배려는 큰 의미가 없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최 위원장은 이어 “혁신도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족적인 도시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공기업만 들어온다고 자족도시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특히 전주·완주 혁신도시는 전국에서 규모가 가장 큰 곳이며, 농업중심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산업기반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또 “도는 원칙적으로 통합에 반대하지만 불가피하게 통합이 된다면 통합본부의 전북이전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며 “토지공사는 전북 혁신도시 선도기관이자 대표기관으로 통합 후 이전하지 않을 경우 혁신도시 건설에 큰 차질이 우려되기 때문에 전북으로 이전돼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최 위원장은 이어 김 지사가 “혁신도시의 역점사업으로 식품산업과 생명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는 말에 동감한다”며 “전북이 농업의 코어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고민은 더울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최 위원장의 발언은 전북과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경남 진주가 주장하고 있는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아 논란의 소지가 일고 있다.

실제 정영석 진주시장은 최근 “진주는 주공이 핵심기관이고 전주는 토공보다는 농업진흥청이 핵심인 만큼 두 기관이 통합되더라도 큰 걱정은 안한다”고 말하는 등 전주·완주혁신도시가 농업중심임을 역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경남 진주혁신도시는 주공과 함께 산업진흥기능 및 기타 이전 기관이 전북으로 이전하는 토공 및 농업지원기관보다 규모 면에서 커 해당 지자체의 논리는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하지만 전북은 그 동안 낙후논리에 치중해 있었던 터여서 자칫 경남의 논리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보다 설득력 있는 논리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혁신도시와 관련 도는 도내 정치권 및 유관기관, 단체 등과 함께 공동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6일 오전 11시 도의회 의장단과의 긴급 간담회를 갖고 대응방안을 논의한 뒤 성명서를 발표하는가 하면 같은 날 오후 5시에는 서울 렉싱턴호텔에서 김완주 지사와 민주당 강봉균 전북도당위원장, 도내 출신 국회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대책회의를 갖기로 했다.

/최규호기자 hoho@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