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여러 지자체들이 박물관 건립을 무리하게 추진하다 감사원 감사에 적발되는 등 파행을 겪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사업비 조달이나 운영 방안 등을 제대로 검토하지 않은 채 건립 사업에 뛰어들고, 결국 변칙 운영을 꾀하거나 제대로 추진하지 못해 예산을 반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역마다 박물관을 가진다는 것은 지역의 향토 역사를 보전하고 주민들의 자긍심을 높이는 한편 관광 및 교육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면에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각 시군마다 박물관을 건립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쉽게 동의하기 어렵다.

지역의 유물을 전시하는 정도의 공간이라면 이미 설립된 시설을 활용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박물관은 기본적으로 역사를 수집 보전하는 막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지역 역사를 연구하는 기능이 가능하고, 전시를 통해 교육하는 기능까지 부여받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인력과 예산을 수반하게 되며, 이런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면 박물관으로서 가치가 없다.

이러한 박물관 건립 경쟁은 문화관광부의 박물관 확장 계획에 따른 바가 크다.

문광부는 2011년까지 전국에 500개의 박물관을 건립한다는 목표 아래 적극 지원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이는 개성 있는 테마 박물관에 중점을 둔 정책이며, 무조건 지역마다 박물관을 건립한다는 계획은 아닐 것이다.

도내 환경에서 지자체마다 특색 있는 박물관을 건립하기란 쉽지 않다.

유사한 환경인만큼 유사한 형태의 박물관으로 유지될 것이 예견된다.

박물관을 건립해 놓고 어떻게 운영하겠다는 것인지도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럴 바에야 차라리 개인이 설립하고 운영하는 기존 사립 박물관을 지원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문광부도 지자체들의 무분별한 경쟁에는 제동을 걸어야 한다.

박물관 건립 경쟁은 민선 단체장들의 치적용이라는 의구심이 든다.

유물을 구하지 못해 복제하고, 관리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박물관이 무슨 소용인가. 아무런 사전 계획이나 관리 방안도 없이 부화뇌동한다는 지적이다.

시군에 맡기지 말고 전북도나 문광부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