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답보상태인 지지율을 올리기 위해서는 리더십을 복원하고 시민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생활정치로 나아가 대안세력이 돼야 한다는 전문가의 진단이 나왔다.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 교수는 17일 국회에서 민주정책연구원이 주최하는 민주정책포럼에 첫 강연자로 나서 '민주당의 선 자리, 갈 길'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며 이같이 말했다.

김 교수는 지난해 12월 대선과 올해 4월 총선에 대해 보수세력의 선전보다는 민주화세력에 대한 회의와 실망이 반영된 '항의투표'라고 평가하고 미국산 쇠고기 문제로 시작된 촛불집회가 범보수연합(한나라당+자유선진당)에 대항할 범진보연합(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에 새로운 기회를 부여했지만 보궐선거와 교육감선거에서 일시 회복됐던 이런 균형이 여름을 지나면서 깨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이명박 정부의 거듭되는 실정 속에서 민주당의 지지율이 오르지 않는 이유로 비전·정책·정체성의 혼돈과 시민사회로부터의 고립, 리더십의 약화 등을 지적했다.

그는 정체성 문제와 관련, 총론에서는 중도의 비중이 높지만 각론에서는 첨예한 대립구도를 드러내는 여론조사 결과를 통해 '이념구도의 이중성'을 지적, "민주당은 애매한 중도개혁주의에서 벗어나 진보적 중도주의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시민사회와의 고립문제에 대해 "보수세력에 비해 진보세력의 장점은 다각적인 소통을 통해 시민사회에 뿌리를 내리는데 있지만 최근 이 장점이 거의 고갈된 것 같다"며 "시민주체성에 대한 열망을 드러낸 촛불집회로부터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리더십 문제에 대해서는 "외부로부터 새로운 정치적 인적 자원의 영입을 통해 위기를 극복해온 이른바 'DJ정치'로부터 배워야 한다"며 "새로운 인적 자원과 리더십의 충원을 통해 복합적 경쟁 리더십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민주화세력은 상대적으로 우리 사회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다루는 포괄적인 역량은 뛰어날지 몰라도 개별이슈를 다루는 전문적 역량은 다소 약할 수 있다.

이런 것이 유권자의 판단에 영향을 미쳐왔다고 생각한다"며 "국회의원들의 직업군을 비교해 무조건 대중적 인기도가 높은 사람을 들여오는 게 아니라 민주당의 정책적 역량을 제고시킬 수 있을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보수정당의 욕망의 정치에 맞서 민주당식 생활정치를 모색해야 한다"며 "거리의 정치로 나타난 열망을 거버넌스의 정치로 만들어 신뢰받는 대안적 정치세력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