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국책사업인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지역으로 선정된 이후 기본계획 수립 등 식품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행정력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싱크탱크’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7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국에서 유일하게 선정된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중심으로 농산물 가공사업과 수출산업의 메카로 육성하기 위해 생물산업진흥원 등을 중심으로 정책을 개발하기 위한 활동에 돌입했다.

하지만 식품산업은 도의 전략산업에 비해 이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거점기관이나 전문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도는 전략산업 중 하나인 첨단부품소재산업과 탄소산업, 방사선융합기술(RFT) 등은 굵직한 국책연구기관들이 싱크탱크 역할을 하고 있다.

첨단부품소재산업은 전북테크노파크 내 전략산업기획단과 자동차부품산업혁신센터(JAIIC)가 싱크탱크 역할을 맡고 있으며, 탄소산업 역시 전주기계산업리서치센터(JMRC), 복합소재기술원 등을 통한 역할 증대를 꾀하고 있다.

방사선융학기술 사업 역시 정읍 방사선과학연구소가 핵심 브레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국책 사업인 국가식품클러스터는 생물산업진흥원 외에 이렇다 할 싱크탱크 역할을 맡을 기관이 없는 실정이다.

 게다가 생물산업진흥원은 현재 기업지원이 주된 업무여서 대규모 국책사업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한계를 갖고 있다.

더욱이 식품산업은 대구·경북은 물론 전남, 충청권, 강원권 등 지자체 마다 지역과 연관된 사업을 유치하기 위해 치밀하게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싱크탱크 구축이 더욱 절박한 상황이다.

실제 대구·경북은 오는 2015년까지 총 6천억원을 투자,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식품산업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들어서도 한림과학기술포럼을 개최하며 독자적인 식품산업 추진을 위한 명분 쌓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국내 석학들의 모임으로 도내의 경우 정회원이 4명에 불과하지만 대구·경북은 10배에 이르는 44명으로 인적 인프라 면에서 전북을 압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식품클러스터 거점 지역으로 전북이 선정됐지만 본격적인 사업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아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도 관계자는 “식품산업과 관련된 싱크탱크가 구축된다면 사업 추진시 큰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특정 전문인력보다 생물산업진흥원을 강화하는 방안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규호기자 hoho@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