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재단의 국가과학기술장학사업이 특정 대학에 편중돼 있다고 한다.

한국과학재단이 2006년 이후 3년간 국내외 259개 대학을 대상으로 사업을 펼치면서 상위 10개 대학에 총 장학금의 75%인 1,807억 원을 지원했다는 것이다.

상위 10개 대학을 보면 서울이 5개 학교이고 부산, 대구, 대전, 광주, 경북이 각각 1개교다.

물론 전북지역 대학교는 10위안에 들지 못했다.

시도별 장학금 배분을 보더라도 서울이 1,252억 원으로 52%를 차지했다.

전북은 ‘새 발의 피’인 32억여 원, 1.39%에 그쳤다.

장학금 지원이 서울과 대도시에 있는 소위 ‘명문’대학에 몰렸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 서열을 매긴다면 전북의 대학은 어디에 위치하는지. 대학 서열화의 부작용을 생각하니 가슴이 답답하다.

될성부른 떡잎에만 투자한다는데 웬 시비냐는 게 한국과학재단의 입장일지는 모르지만 가뜩이나 교육 여건이 열악한 전북지역 대학의 입장에선 선뜻 수용하기 어려운 주장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양극화, 부자, 가난한 사람들의 양극화, 교육의 양극화. 요즘같이 양극화의 골이 깊어지는데 그게 얼마나 더 깊어질지 걱정스럽다.

김춘진의원 지적대로 ‘이러한 장학금 편중지원은 과학에 대한 순수한 열정을 지닌 지방 대학생들을 좌절하게 만든다’는 의견에 공감한다.

지방에 대해 수십 년간 지속돼 온 구조적 홀대가 과학기술 장학금의 서울 편중을 불러온 원인이라는 진단에 이견이 있을까. 지역간 균형을 유지하려는 노력 없이 효율성과 경쟁만을 강조하는 잘못된 발상은 고쳐져야 한다.

  단순히 장학금 몇 푼의 문제라기보다는 교육의 양극화와 사회의 양극화라는 차원에서 이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

그러기에 과학기술장학사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지방대학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아쉽기만 할 뿐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