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와 국립민속박물관이 올해를 ‘전북민속문화의 해’로 선포하면서 ‘민속’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뜨거워졌다.

이런 가운데 전북문화원연합회가 27일 마련한 ‘전북의 민속문화 보존방안’은 많은 시사점을 던져줬다.

전문가들은 이날 민속문화의 실태를 조명함은 물론 보존방안에 대해서도 각종 대안을 쏟아놓았다.

그럼에도 허탈감을 감출 수 없었던 것은 민속을 미신과 동일시하는 문화에 대한 염려 때문이었다.

사실상 민속은 정부 정책에서 홀대 당한 면이 더 많다.

고고학 발굴에는 수천억씩을 쏟아 붓고 난리를 떨어도 정작 복원과 재현이 어려운 민속은 미신타파 대상으로 취급해 왔던 게 사실이다.

투자래야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가 고작이었다.

민속이 미신타파 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제는 우리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민속을 미신으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청산에 나섰다.

이후 주권을 회복했음에도 정부 역시 식민지시대 민속정책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다.

그 대표적 사례가 1970년대 행해진 새마을운동의 미신타파 운동이다.

거기다 천주교와 기독교가 사회 중심으로 자리잡으면서 이런 현상은 더욱 가속화됐고, 우리민속문화는 또 한번 열등감에 시달려야 했다.

지금도 사회 곳곳에서 종종 충돌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최규영 진안문화원장은 이런 사태를 심각하게 꼬집는다.

“일제가 우리문화를 말살하려는 목적 하에 세뇌했던 미신화가 오랫동안 세습 승계됐기 때문에 우리 스스로 민속문화를 멸시하기에 이르렀다”며 “민속을 객관적으로 보지 못하고 연희자들을 미개인 취급하는 성향이 아직도 팽배하다”고 개탄한다.

박동진 명창이 남긴 ‘우리 것이 좋은 것’이라는 명언을 새삼 강조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의식들이 변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 민속에 대한 생각은 정부는 물론 국민 개개인조차 흥미거리로만 여길 뿐 그 정체성은 들여다보려 않는다.

누가 뭐래도 민속은 우리 정체성의 실증이자 실재다.

해석이 넘쳐날 경우 경박한 기법과 스타일도 난무하기 마련이다.

이제라도 민속의 실재를 분명히 해야 해석의 경박함을 막을 수 있다.

이를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