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무공해 교통수단인 자전거 타기가 현실적으로 쉽지만은 않은 모양이다. 큰 예산을 들여 개설한 자전거 도로를 불법 주차차량이 무단 점거하거나 상가 적치물이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곳곳에 설치된 석재 ‘볼라드’도 자전거 사고 위험을 높이는 장애물이다.

  자전거 타기를 가로막는 더욱 큰 문제는 제도적으로 자전거를 보호할 수 있는 사회적 노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자전거 도로를 벗어난 자전거는 교통법상 우선순위에서 밀려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자전거 도로에서 밀려나 차도에서 자동차와 부딪치거나 인도에서 보행자와 충돌할 경우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자전거 운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도 한계가 있기는 마찬가지다. ‘자동차는 자전거와 일정 거리를 유지토록’ 명문화 하고 있으나 ‘일정 거리’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 사실상 사문화되고 있다.

  전주시의 경우 지난 1997년 자전거 시범도시로 지정돼 10개년 동안 300여km의 자전거도로를 신설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사업 추진 도중 예산 투입에 비해 효용가치가 떨어진다는 판단에 따라 지난 2004년 251km를 개설한 뒤 사업을 사실상 중단해 아쉬움이 남는다.

  전주시는 자전거 타기에 적합한 도시로 꼽히고 있다. 자전거를 탈 수 있는 인프라가 이왕 조성된 만큼 다시 자전거 타기를 재점화할 필요가 있다. 장애가 되는 부분들을 개선하고, 도로 구간도 일부 손질하고, 새로운 연결 노선을 개설하는 등의 적극성이 요구된다. 적치물 제거를 위한 계도 활동과 볼라드 정비 등도 뒤따라야 한다.

  자전거는 미래 무공해 교통수단으로 권장되는 것이 마땅하며, 장기적으로 볼 때 안전하게 운행되도록 제도적,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한다. 자전거의 운행에 장애가 되는 관련 교통법을 손질하고, 사고 위험이 있는 요소들을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민들의 의식도 중요하다. 민간 주도로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적극 동참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자전거 전용도로의 확보도 시민들 몫이다. 전주가 자전거 도시로 거듭나 교통 체증 없고 공기 맑은 쾌적한 도시로 가꿔지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