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이 끝난 뒤 수험생들은 본격적인 정시모집에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시점이다.

수험생들은 목표대학의 입학전형을 분석해 자신의 점수대별로 지원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좋다.

◇상위권, 논술고사 준비 철저하게 우선 상위 1%에 포함되는 학생은 논술고사 준비에 나서야한다.

최상위권 학생들이 지원하는 대학 대부분이 논술고사를 실시하며, 당락은 논술과 면접이 가를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또 동점자 처리 기준도 반드시 체크하는 것이 좋다.

1%에 포함되지 않는 상위권 학생의 경우 최상위권의 집중과 분산 현상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추가 합격까지를 고려한 소신 지원으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다.

이 점수대 학생들은 이른바 일류대의 비인기학과를 대학의 이름만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데, 합격한뒤 적성이 맞지 않아서 중퇴하고 재수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수능성적 2~3등급에 해당되는 중상위권은 상위권이 지원하는 대학에 소신지원하고, 서울·수도권 소재 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 포함되는 학생들은 대학마다 반영하는 영역을 꼼꼼히 따져서 지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등급 학생들은 서울 소재에 있는 대학 중에서 상위권 학생들이 지원하는 대학을 제외하면 거의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자신에게 유리한 영역을 살펴본 뒤 한군데 정도는 상향지원할 필요가 있다.

3등급를 받은 학생은 서울 소재대학과 수도권대학에 지원이 가능한데, 서울 소재 대학 중 한두군데를 소신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하위권, 틈새 지원을 노려야 4~5 등급을 얻은 중하위권의 경우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 중 비교적 학생들의 선호가 높은 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점수대의 학생들은 지원 대학을 선택할 때 대학의 장기 전망을 고려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 중 정원을 채우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대학도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서 지원 전략을 짜는 것이 바람직하다.

5등급 학생들은 수도권에 지원해서 합격하기에는 부담스런 점수를 받은 학생이라고 봐야 한다.

하지만 이 점수대의 학생들도 틈새를 노릴 수 있는 여지는 많이 있다.

그러므로 수도권에 한 군데 소신 지원을 하고, 두 군데는 지방대쪽에 안정 지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등급 이하의 하위권 학생들은 지방대 중 틈새를 노리거나 전문대 진학으로 방향을 정하는 것이 좋다.

하위권의 합격선은 상위권과 중위권의 집중과 분산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수가 생기므로 원서 마감일까지 끈기를 가지고 지원 현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