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대운하 건설을 반대하는 전국교수모임'은 22일 오전 10시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국제회의실에서 긴급토론회를 열어 4대강 정비사업이 대운하 건설로 이어질 것이라며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4대강 정비사업, 대운하가 아닌가?'를 주제로 열린 이날 토론회에서 박창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국토해양부의 국가하천정비사업에선 없었는데 이번에 새롭게 '하도정비'가 추가됐다"며 "하도정비(예산 2조6000억원)란 결국 하천 바닥을 준설하는 것인데 하천준설은 운하의 수로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또 "낙동강 하구언의 우안 측에서 하천 바닥을 준설해 설치될 배수갑문의 증설은 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천과 바다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4대강 정비 사업이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사업시행에 따른 지역균형발전 실현 가능성에 대해 변창흠 세종대 행정학과 교수는 "전국에 걸쳐 하천지역을 정비하기 때문에 개발사업의 공간적 배분에 있어 균형은 유지할 수 있다"며 "그러나 개발사업의 공간적 균형배분이 (경제적)균형발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 변 교수는 "개발사업 진행기간 지역 내 부수적인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나타날 수 있지만 개발 사업이 완료된 후 지역의 발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기반시설이 아니면 효과는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며 "4대강 정비사업은 직접적으로 지역의 산업육성이나 인력양성 등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토목사업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김정욱 서울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정부는 물을 맑게 하고 홍수를 막기 위한 것 등으로 하천정비사업의 주된 명분으로 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강의 윗물은 대부분 시골 마을의 도랑인데 지금은 쓰레기 태우는 곳으로 전락했다.

10만개 마을에 각 1000만원씩만 지원해도 1조원이면 도랑을 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일본도 우리처럼 여름에 비가 많이 오지만 홍수피해가 없는 이유는 댐을 짓고 하천정비를 그런 것이 아니라 홍수예방에 많은 투자를 하기 때문"이라며 "하천정비 대신 마을마다 지하에 빗물저장시설을 만들고 산사태 방지사업 등을 벌여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준구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민의 의혹을 사가면서 4대강 정비사업이라는 부양책을 내놓는 속내가 대운하사업에 대한 미련에 있다는 것은 거의 분명한 사실"이라며 "자칫하면 경제위기의 수습이 시급한 터에 대운하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적전분열의 위급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교수는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일이 많은 터에 대운하 얘기를 꺼내 '긁어 부스럼'을 만드는 것은 졸렬하기 짝이 없는 처사"라며 "대운하는 하지 않는다는 분명한 말이 있어야 이 혼란이 수습될 수 있다.

아집과 독선을 버리고 국민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겸허한 자세가 절실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