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산정방식에 따른 주택보급률 통계에서도 도내 보급률이 전국 평균을 훨씬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화상태의 주택 수요를 넘어선 공동주택의 공급이 지난해 대규모 미분양 사태를 불렀다는 지적이다.

4일 도내 주택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토해양부가 마련한 새로운 산정방식에 의한 도내 주택보급률은 지난 2007년 말 기준 108.0%로, 종전 132.0%보다 낮았지만, 여전히 기준치인 100%를 웃돌았다.

또 이 같은 수치는 전국 평균인 99.6%보다 8.4%p나 높은 것으로, 강원(108.9%)과 충남(108.7%)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았다.

서울(93.2%)과 경기(95.6%) 등 수도권(95.0%)보다는 무려 15%p 가량 높은 수치다.

도내 부동산 전문가들은 “새로운 산정방식을 통해서나 종전 방식으로나 도내 주택보급률이 포화상태인 것은 분명하다”며 “수요를 예견하지 않은 주택 공급이 지난해 대규모 미분양 사태의 원인이 됐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그러나 높은 주택보급률이 주거안정 등 환경의 양호 상태를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산정방식의 특징은 종전 1가구로 인정했던 다가구 주택을 구분거처 수에 따라 개별 가구 수로 합산하고, 그동안 제외됐던 1인 가구를 통계치에 반영한 것이다.

이 같은 방식으로 지난 2007년 기준 도내 주택 수는 66만6천200호로 종전 방식(62만1천100호)에 비해 4만5천100호가 늘었다.

하지만 가구수는 61만6천700가구로 종전 47만500가구보다 14만6천200가구나 증가했다.

때문에 주택보급률의 변동치는 서울 등 수도권의 경우 불과 2%p 안팎인데 비해, 전북 등 상위 3개 지역은 보급률이 기준치를 넘어섰음에도 불구하고 변동치가 무려 20%p~30%p에 달했다.

도내 주택협회 관계자는 “새로운 방식을 적용한 통계치에서 종전보다 변동 폭이 컸다는 것은 그만큼 다가구세대와 1인세대 등 주거환경이 불안한 세대가 늘었다는 의미”라며 “단순히 주택보급률을 통한 주택의 많고 적음을 짐작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주거환경이 불안한 세대를 실수요로 본 눈높이 주택사업이 추진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성준기자 ssj@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