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어촌 지역 교육 어려움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부분 노인 인구가 30%에 이르는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다.

그래서 초등학교 입학생이 2~3명에 불과한 학교도 많다.

학생 수가 적어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통합해 운영하는 학교가 있고 심지어 초·중·고를 통합해 운영하는 학교도 있다.

농산어촌 지역 교육은 교육의 위기라 할 수 있는 소규모학교 통폐합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다문화 가정과 결손가정의 증가 역시 문제다.

면 단위에서 학생 수가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지역의 교육여건이 좋아서 전학 오는 것이 아니라 부모가 경제적으로 어려워 조부모에게 자녀를 맡기기 때문이다.

이는 농산어촌 교육위기를 단적으로 말해주는 예이다.

 최근 전라북도 교육청은 도내 농산어촌 학생의 통학불편해소 및 농산어촌 교육 활성화를 위해 전국 최초로 읍·면 지역 초등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통학차량 확대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반가운 소식이다.

전라북도 교육청에서 보여준 농산어촌 교육사랑은 이 뿐만이 아니다.

현 정부 들어서도 지속적이고 강력하게 추진되고 있는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대해서도 최소화하려는 의지를 보인 바 있다.

실제 학생 수 60명 이하의 학교를 통폐합하게 되면 전라북도 읍·면 단위 대부분의 학교가 통폐합 대상이 된다.

현재 전라북도는 학생 수 60명 이하 학교 수가 220여 개에 이른다.

소규모 통폐합이 진행 되면 전라북도 교육은 파탄에 처하게 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전라북도 교육청 농산어촌 교육사랑은 거슬러 올라가면 농산어촌 지역 학생들에게 급식을 무상으로 제공한 것부터 시작된다.

교육감 공약으로 초등학교부터 단계적으로 시작된 무료급식은 현재 중등까지 확대되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은 재원마련부터 시작해 무료급식 공약은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많았다.

그럼에도 지자체와 협력해 농산어촌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고민을 함께하며 이루어낸 성과라 할 수 있다.

이후 지자체의 교육 경비지원 예산은 눈에 띄게 늘어나게 되었다.

현재는 무료급식에 그치지 않고 학생들의 건강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차원에서 친환경 농산물 및 쌀 등이 급식에 지원되고 있다.

또한 중학교 학교운영지원비, 보충수업비, 영어캠프 등까지 지자체와 협력해 추진하고 있다.

더 나아가 농산어촌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러 분야에 지원하는데 그치지 않고 농산어촌 지역 스스로 교육을 책임지고 활성화 할 수 있는 제도적인 틀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가칭 지역교육공동체를 만들어 지역과 학부모, 교사가 협력해 지속적인 노력을 할 때 농산어촌 교육의 미래는 더욱 밝아질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