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효익사회부기자
전북지방경찰청은 3일 도내 편의점 내 ‘바퀴 달린 현금지급기’ 설치 현황 파악에 나섰다.

이는 전날 강원도 속초의 한 편의점에 복면과 마스크를 한 강도가 침입, 종업원을 흉기로 위협하고 손발을 묶은 뒤 바퀴 달린 현금지급기를 훔쳐 달아났기 때문. 지방청은 이에 대한 대응으로 이와 같은 실태를 파악하고, 거점 등에 근무자를 배치하기로 했다.

또 편의점에 설치된 한달음 시스템의 작동여부도 아울러 확인하는 한편 직원들에게 대처요령 등에 대해 반복 교양할 것을 지시했다.

타 지역에서 발생한 사건이 관내에서 발생하지 못하도록 예방활동을 펼친 것이다.

전북경찰은 2일에도 타 지역 발생 사건을 ‘타산지석’으로 삼았다.

지난달 31일 경북의 한 치안센터에서 상해 현행범으로 검거된 피의자가 가지고 있던 흉기로 참고인을 숨지게 한 사건이 그것. 전북경찰은 이 사건에서 상해 현행범 임에도 수갑을 사용하지 않고 신체와 소지품을 수색하지 않은 점, 감시 소홀 등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관내에서 이와 같은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책을 강구했다.

이는 분명 필요한 조치이며, “왜 그랬냐”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듯하다.

그러나 만약 위 사건들이 타 지역이 아닌 도내에서 발생했다면 어땠을까? 그제서야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는 모습은 영락 없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격일 수 밖에 없다.

소 잃은 뒤 고쳐지는 외양간은 더욱 튼튼할지 모른다.

그러나 이미 잃어버린 소를 다시 되찾아 오기는 쉽지 않은 법. 특히나 도민의 생명과 재산의 안전을 책임지는 경찰의 뒷북 행정은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사후약방문’격의 조치도 소홀히 할 수는 없지만 타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위안 삼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박효익기자 whick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