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이 연말까지 20조원 정도의 부실채권을 처분해 부실채권비율을 1%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30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대책외의’에서 ‘기업구조조정 추진상황 및 금융회사 부실채권 정리계획’을 논의해 이 같이 확정했다.

금융당국은 올해 6월 말 1.5%인 수준인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을 연말까지 1%로 줄이도록 지도한다.

은행권은 현재 19조6000억원에 이르는 부실채권을 연말까지 13조1000억원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

하반기에 신규로 발생할 부실채권까지 고려하면 은행들이 상각·매각해야 할 부실채권은 20조원 정도가 될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구조조정기금과 자본시장 등을 활용해 금융회사의 부실자산 처리를 적극 추진한다.

금융회사에 부실채권 감축 목표비율을 제시해 부실자산을 적극 정리하도록 지도한다.

8월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설치해 부실자산 인수기준 등을 마련한 후 구조조정기금 등을 활용해 부실채권의 매입을 적극 추진한다.

9월 설립하는 민간 배드뱅크 등을 통해 금융회사가 자체적으로 부실채권을 정리하도록 유도한다.

금융회사 등이 적극적으로 부실채권을 정리해 은행의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자기자본비율이 낮아지면 20조원의 은행자본확충펀드를 통해 자본확충을 지원한다.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부실채권 규모는 올해 3월 말 11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10조7000억원보다 1조 2000억원 늘었다.

제2금융권의 경우, 구조조정기금을 활용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채권을 신속히 정리하고 기타 부실채권은 자체 처리하도록 지도한다.

부실채권 처리로 건전성이 악화되면 대주주가 책임지고 자본을 확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금감독이 분기마다 건전성분류 조정내역을 점검해 잠재 자산건전화를 유도한다.

한편, 금융당국은 여신 500억원이상 대기업 구조조정은 채권은행의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단행하고 있다.

평가대상 433개 업체중 33개(C등급 22, D등급 11) 업체를 구조조정 대상으로 6월 선정했고 채권단 협의와 외부전문기관 실사 등 워크아웃 절차를 추진중이다.

여신 500억원 미만 중소기업은 11월말까지 세차례 채권은행의 신용위험 평가를 받는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