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학생들에 대한 통제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대학이 신종플루 확산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돼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대학의 경우 초·중·고교보다 학생 규모가 훨씬 크면서 내·외부인의 출입이 자유로운 데다 방학을 맞아 해외에 다녀온 학생들의 비율도 훨씬 많기 때문이다.

2학기 개강을 맞은 도내 대학들은 신종플루 확산을 막기 위해 비상대책위원회를 만들고, 인근 신종플루 거점 병원과 연계한 대책을 마련해 신종플루 의심증세가 있거나 해외에 다녀온 지 일주일이 지나지 않은 학생들과 교직원들에게는 등교 금지령을 내렸다.

하지만 각 대학들은 어학연수 등으로 최근 해외를 다녀온 학생들이나, 발열 등 이상 증세가 있는 학생들에 대한 조사 등 신종플루 대비에 거의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전북대의 경우 캠퍼스 소독과 함께 손소독기·세정제 등을 기숙사와 식당·도서관 등 집단 감염이 우려되는 장소에 비치했고, 원광대도 학생회관과 중앙도서관, 기숙사 등 학생이 자주 이용하는 곳에 이미 손 소독기를 설치했다.

또 우석대는 이메일 및 전화를 통해 입국을 앞둔 외국인 학생들의 건강상태를 파악,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입국 연기를 요청한데 이어 기숙사 입사생들의 체온을 점검하고 있다.

하지만 각 대학들은 이런저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반쪽짜리’ 예방책에 불과해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예방책이 ‘발열 체크’에 불과해 감염자가 학교로 돌아올 경우 신종플루 확산은 사실상 무방비 상태와 다름없다는 지적이다.

대학생 박모씨(21)는 "초·중·고교는 개학을 앞두고 건강에 이상이 없는지 최소한의 조사라도 하며 교육청에서 홍보도 하던데 대학생은 그마저도 없다"며 “대형 강의실이나 구내 식당 등에서 신종플루에 감염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대학생들의 경우 어학연수, 봉사활동 등으로 해외에 나간 학생 비율이 초·중·고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어서 초·중·고교보다 감염 확산 가능성이 더욱 높을 수밖에 없다.

실제 각 대학 등은 해외에 다녀온 한국인 학생들의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사실상 ‘방치’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한 대학관계자는 “대학이라는 특성상 전교생을 한날한시에 모아 감염 검사를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며 “해외를 다녀온 학생 역시 초·중·고교처럼 일괄적인 현황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북대는 학생처장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를 구성, 신종플루로 인한 감염 학생이 증가될 경우 비상대책위원회 및 학무회의를 소집해 필요시 임시 휴교조치를 내린다는 방침이다.

/김대연기자 eodu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