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한 대학 교수팀이 새로운 치매 유발 유전자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치매 발병 가능성을 낮추는 방법도 알아냈다.

이를 통한 새로운 치매 치료제 개발의 문도 열렸다.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유헌 교수팀이 새로운 치매 유발 유전자인 S100a9(calgranulin B)를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서 교수팀은 치매 환자의 뇌에서 S100a9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고 있다는 것과 SiRNA를 처치하면 치매 발병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서 교수는 치매 유발 형질 전환 쥐의 뇌 조직으로부터 유전자 칩 어레이 방법으로 비정상적 발현이 증가되고 있는 S100a9 유전자를 발견한 뒤 이 유전자가 치매 환자의 뇌에서도 상당부분 발현이 증가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또 S100a의 메신저RNA(mRNA)를 억제하는 작은 억제성 RNA(SiRNA)를 처치하면 세포 내 '칼슘(Ca2+)'과 심장혈관 질환·인슐린저항성·당뇨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염증성 사이토카인', 세포독성물질인 '자유유리산소기'가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서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치매 모델로 형질이 전환된 쥐의 뇌에 shRNA를 주입한 결과, 치매 발생이 상당부분 억제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치매의 가장 큰 증세인 '기억력 감퇴'가 방지됐을 뿐만 아니라, 뇌 세포 속에 다량 존재하는 베타 아밀로이드와 C단 단백질의 침착으로 인한 '신경반 형성'과 독성으로 인한 '신경 세포 사멸'이 현저히 감소됐다고 연구진은 전했다.

서 교수는 "S100a9를 억제하는 물질이 치매 발병을 저해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은 이를 응용한 새로운 치매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