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동통신 시장은 3G폰, 아이폰에 이어 스마트폰 까지 최첨단 휴대장치가 앞다퉈 선보이며 고객잡기에 나선 업체들의 가열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반면, A/S 등 서비스 수준은 크게 떨어져 소비자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관련업체들은 휴대폰에 PC등 다양한 콘테츠 기능을 추가해 100만원을 호가하는 가격을 받고 있지만, 1년 무상서비스는 허울에 그쳐 돈을 내고 수리해야 할 때가 더 많기 때문이다.

실제 무상 수리기간에 단말기를 떨어뜨리거나 습기가 스며들어 고장이 났을 경우, 제조사 측은 관리가 소홀했다는 등의 이유를 들며 소비자에게 수리비를 부담시키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고등학생 자녀를 둔 배모씨(40.인후동)는 지난해 성탄절을 맞아 자녀에게 선물하기 위해 구입한 S사 휴대전화가 고장이나 서비스센터를 찾았지만 불쾌한 경험을 해야 했다.

휴대폰 액정이 희미해지고 버튼이 잘 눌러지지 않아 서비스센터를 방문해 A/S를 요구했으나, 센터 측은 휴대폰 안에 습기가 차 메인보드와 내부 액정이 망가졌으며, 이는 소비자 과실에 의한 고장으로 무상 수리가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들은 것.이에 배씨는 "휴대전화를 물에 접촉 시킨일이 없다 제품 자체가 불량인 것 아니냐"며 항변 했지만, 센터 측은 주머니에 오래 넣고 다니거나 할 경우 땀이 흡수돼 습기가 찰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사용자의 관리 부주의라며 이를 받아들지 않았다.

배씨는 어쩔 수 없이 5만여원의 수리비를 지불해야 했다.

이같은 경험은 단 배씨만이 아니다.

도내 소비자 고충관련 기관에 따르면 휴대전화 가격은 일반 가전제품과 비교해 세탁기 한대 가격과 맞먹지만 A/S와 관련한 소비자 불만 접수는 크게 늘고 있다.

소비자원 한 관계자는 "배씨 외에도 휴대전화 제조사들이 일방적으로 정해 놓은 A/S 기준에 가중한 수리비를 부담해야 하는 등 불만을 토로하는 소비자들의 문의가 쇄도 하고 있다"며 "현재 유·무상서비스 관련사항은 제조사의 판단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제조사가 소비자 과실로 판단하면 무상수리를 받을 수 없는 것이 현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휴대전화 이용자들은 물론 IT업계 측은 "단말기 기능은 다양해 졌지만 견고성은 개선되질 않고 있다"며 "청소년들 사이에선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제도적인 방침이 세워져야 한다"고 입을 모왔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정보화 시대에  1인 1휴대전화 보유가 평준화 됨 만큼 행정당국이 나서 명확한 기준을 세우는 등 중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제도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왕영관기자wang3496@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