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해 16조7천억 원이라는 막대한 전북지역 금융기관의 자금이 외지로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기관의 역외유출은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침체 일로를 걷고 있는 실물 경제가 활성화되지 않는 한 자금 흐름의 왜곡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돼 여파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전북지역 금융기관의 자금역외유출 원인은 소규모 생계형 서비스업 위주의 경제구조와 역외의존적 경제구조, 동부권 경제의 낙후, 지역밀착형 금융기관 및 지방은행의 보수적 경영, 대출 수요를 창출하는 우량 기업이 부족한 점 등이 복합적인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가장 큰 원인은 지역 소재의 기업이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영세해 대규모 투자를 통한 금융기관의 대출 수요 창출 동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기준으로 영세기업(1∼4인) 비중의 경우 전국 평균이 63.7%, 9개도 평균이 57.6%인 반면 전북은 무려 72.8%에 달하고 있다.

제조업(10인 이상)의 사업체수도 9개도 평균이 4천345개인 반면 전북은 1천388개였고, 종사자수도 9개도 평균 18만 9천800명에 크게 못미치는 6만 6천800명에 머물고 있다.

또 도내 산업기반의 취약에 따른 역외의존적 경제구조가 지역자금을 역외 유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실 2008년 중 전북지역의 재화 및 서비스 교역수지 적자규모는 2조5천억원으로 GRDP의 8.9% 수준으로 나타났다.

적자규모 또한 2002년 3조7천억원에서 2004~2005년경 8천억원으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2008년까지 2조5천억원으로 큰 폭으로 확대됐다.

이는 최근 4~5년간 대기업 유치 등으로 산업기반이 강화된 것은 사실이나 아직 역외의존적 경제구조의 개선에는 미흡한 데 기인했다.

또 동부권 경제의 낙후와 지역 밀착형 금융기관 및 지방은행의 보수적 경영을 뽑을 수 있다.

동부권은 산업 및 금융 전반에 걸쳐 경제 기반이 취약하고 투자유인이 부족해 전북지역 전체의 역외유출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2000년대 들어 지점 통·폐합 등의 구조조정으로 자산운용의 안정성이 중시되며 지역밀착형 금융기관들의 보수적인 대출태도가 더욱 강화돼 높은 역외유출률(34.3%)의 지속 요인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전북지역의 지역 밀착형 금융기관 수는 2000년 335개에서 2008년 말 276개로 줄어 상대적으로 지역 내 자금 유동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았다.

한은 전북본부 관계자는 “가뜩이나 영세한 중소기업들은 그만큼 자금 조달이 어려워져 투자를 꺼리게 되고 이는 곧바로 생산활동 위축으로 이어져 여러 가지 문제를 파생하게 된다”며 “원활한 자금중개가 가능한 튼실한 금융기반을 바탕으로 하지 않고서는 유망 중소기업 육성과 기업유치 활동 등은 모두 공염불에 불과함을 유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대연기자 eodu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