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는 내달 초 관련부서직원과 시의원, 체육계와 언론계 관계자 등 20여명으로 T/F팀을 구성, 전주실내 체육관 이전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공청회 등을 통해 지역 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 신축될 실내체육관의 규모와 위치선정을 결정할 계획이다.

시는 예산문제와 관련, 도내 정치권의 협조를 얻어 현재 전체 예산의 30%내에서 가능한 국비지원을 50%까지 상향시킨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열악한 시 재정을 감안할 때 시의 방침대로 50%의 국비지원이 이뤄진다 해도 나머지 예산을 확보하는 데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

예산문제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는 새로 이전할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는 것. 당초 현재 건물을 헐고 새로 짓는 방법이 제기됐지만 반월동 스포츠타운 건립 계획이 수립되면서 신축부지로 이전하는 방법이 유력시되고 있다.

다만 스포츠타운 건립이 경제성 문제로 표류하면서 제3의 장소로 이전이 검토되고 있는 상황. 시는 현재 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종합경기장내 이전과 통합협상이 결렬되기는 했지만 장기적인 차원에서 완주군 지역으로 이전을 고려하고 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200억 원에 이르는 부지매입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굳이 실내체육관을 신축한다면 전주시의 숙원사업인 구도심활성화 정책에 맞춰 구도심 쪽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지역 내 여론이 제기되면서 전주시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구도심으로 이전할 경우 부지확보에 따른 예산문제와 함께 도심교통 대란 우려가 있는 데다 대회가 열리는 날에만 사용하는 실내체육관의 경우 부지확보에 따른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은 만큼 구도심 활성화 효과가 유발될지 의문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주시가 그 동안 상권침체와 공동화 현상이 가속되고 있는 구도심을 살린다는 명목으로 수천 억 원의 예산을 투입, 한옥마을과 영화의 거리 조성, 노송천 복원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부지매입비용 투자는 감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노송천사업과 연계개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구 교육청 부지 활용과 함께 상권이 침체돼 있는 전주시청 부근이 제기되고 있다.

또 전주월드컵 경기장과 같이 대중이 항상 이용할 수 있는 상시 영업장을 개설한다면 구도심 활성화 효과는 배가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전주시의회 임동찬 의원은 “전주시가 당장의 부지 매입비용을 아끼기 위해 구도심 활성화라는 측면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는 것과 같다”며 “구도심 지역에 실내체육관을 신축하고 부대시설을 갖춰 운영한다면 구도심 활성화의 모범사례로 꼽힐 것이다”고 전망했다.

/이종호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