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표류 중이던 전주교도소 이전문제가 3년 만에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이전문제에 소극적이던 법무부가 최근 신건 국회의원과 가진 회동에서 전주교도소 이전을 확약하면서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것. 그러나 이전을 위해서는 1500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사업비용과 이전부지 마련, 활용방안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어 실제 이전이 이뤄지기까지는 수많은 난관이 예상된다.

전주시의 장기적인 도심발전을 위해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전주교도소 이전의 당위성과 이전방법, 활용방법 등을 3회에 걸쳐 집중 조명한다.

/편집자 주 1.도심발전 발목잡고 있는 전주교도소 부지 2.이전부지와 사업비 마련 산 너머 산 3.차기 단체장과 지역정치권이 풀어야할 숙제   지은 지 40년이 다 돼가는 전주교도소를 이전하는 문제가 지역의 새로운 난제로 떠오르고 있다.

도심외곽으로 이전했던 교도소 부지가 세월이 흐르면서 도심요충지로 자리를 잡아 도심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는 데다 혐오시설로 인한 주민들의 민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것. 전주교도소가 전주 도심에서 현재 지역으로 이전한 것은 지난 1972년. 당시 서노송동에 있던 교도소는 10만9천256㎡ 규모로 당시 시 외곽지역이던 평화동으로 옮겨졌다.

그러나 지난 98년 이후 서남권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이 일대는 고층아파트와 상가가 밀집한 지역으로 탈바꿈했다.

이 처럼 도심팽창이 이뤄지면서 교도소 이전문제는 10년 전인 지난 2000년부터 주민들의 이전요구로 수면위로 떠올랐다.

전주시는 도시발전 기획단을 신설해 법무부에 이전검토를 요청했고 2002년 당시 전주시장에 당선된 김완주 시장도 법무부를 방문해 도시계획에 따라 교도소가 반드시 이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이전 부지마련과 신축비용 등 1500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예산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 때문에 지역 내의 이 같은 여론은 찻잔속의 태풍에 그쳤다.

그러다가 지난 2007년 전주를 방문한 법무부 장관에게 이전을 건의하면서 교도소 이전문제가 또 다시 거론됐었다.

하지만 도심 속에 교도소가 자리 잡아 지역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는 현상이 전주뿐 아니라 마산, 대구, 광주, 대전지역에서도 봇물처럼 터져 나오던 때였고 이미 사업비 확보에 한발 앞섰던 광주지역에 밀려 전주교도소 이전은 또 다시 제자리걸음을 해야 만 했다.

이처럼 교도소 이전문제가 의욕만 앞설 뿐 다른 지역에 비해 명확한 명분을 내세우지 못하고 흐지부지되고 있는 반면 이 일대는 개발에 박차를 이전보다 더욱 도심 요충지로 변모해 갔다.

이전 당시 6천여 명에 불과하던 주변 거주인구는 10배가 넘는 7만 명에 달해 전주시 전체인구의 10%가 넘는다.

또 동도미소드림과 주공아파트, 호반 리젠시빌 아파트 등 대단위 아파트와 중심상업건물이 나날이 늘고 있고 주변에 지역조합 아파트로 추진되는 현대 엠코와 민간 시행사 주도로 대단위 아파트 건립이 잇따라 추진되고 있어 교도소 이전문제는 꼭 해결해야할 지역현안으로 자리한지 오래다.

전주시 관계자는 “전주교도소 이전이 지역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지만 그동안 법무부 측의 소극적인 태도와 사업비 문제 때문에 제자리에 머물고 있었다”며 “하지만 지난 해 말부터 정치권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가시화되고 있어 이달 중에 법무부를 찾아가 로드맵을 알아보고 후보지 선정을 검토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종호기자․leejh7296@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