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업계가 구조조정 이후 또다시 난관에 봉착했다.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가 상호저축은행이란 명칭을 ‘신용금고’로 회귀하라는 명칭변경 압박이 거세지고 있기 때문. 이에 지역 저축은행 업계는 가뜩이나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 명칭마저 변경된다면 업계의 신뢰도 추락은 불보듯 뻔하다며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4일 금융당국과 지역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이노근 새누리당 국회의원 등 12명은 저축은행의 명칭을 상호신용금고로 환원하는 내용의 상호저축은행법 개정안을 발의, 국회 정무위에서 상정·심의중이다.

저축은행이란 명칭은 일반 은행과의 구분이 모호할 뿐 아니라 저축은행을 우량한 금융기관으로 오인하게 할 우려가 있어 금융이용자의 혼란을 예방하려면 과거의 상호신용금고로 다시 돌아갈 필요가 있다는 취지에서다.

지난해 구조조정이 시작되면서 저축은행 수장의 명칭을 ‘행장’에서 일제히 ‘대표’로 바꾼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하지만 업계는 정치권에서 현행 상호저축은행 간판을 상호신용금고로 전환하는 개정안에 대해 ‘저축은행을 두 번 죽이는 꼴’이라며, 반발하고 읍소에 나섰다.

이날 상호저축은행중앙회는 이름을 변경해서는 안 되는 이유 10가지를 포함한 ‘저축은행 명칭 변경에 대한 업계 의견’ 자료를 내놨다.

우선 업계는 저축은행 사태를 명칭 변경과 연계하는 것은 부적절한 행위라며, 감독강화와 제도개선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앙회 관계자는 “저축은행 사태는 해당 저축은행 경영진의 부실경영과 무리한 자산규모 증대, 대주주의 도덕적 해이에 상당부분 기인한다”면서 “저축은행 명칭이 변경될 경우 남아있는 저축은행까지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예금자 불안심리가 팽배한 현 시점에서 상호신용금고로 회기할 경우, 뱅크런(대규모인출)사태를 촉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는 또 명칭 변경에 따른 직간접적인 비용 발생도 우려하고 있다. 우선 간판과 로고, 홍보물 등의 변경에 따른 직접비용만 600~700억 원대로 예상하고 있다.

또 인지도 상승을 위한 홍보비용과 조달비용 등 간접비용도 1조 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추가부실에 따른 사회적비용의 경우에는 최대 3조9천억 원으로 산출했다. 지역 저축은행 업계 역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도내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현 시점에서 명칭변경이 이뤄지면 고객이탈에 따른 저축은행 경영악화 가속화와 고사가 우려된다.

고객이탈은 조달비용 상승요인으로 작용해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소비자 금융비용 부담 증가와 대출규모 축소에 따른 서민금융 공급이 위축되는 부작용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지금은 저축은행 사태와 향후 생존전략에 대해 구체적인 접근이 필요한 때이지 명칭변경을 논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김대연기자 eodu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