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유전체 기술 개발을 위해 8년간 총 5788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유전체(genom)'란 배우자에 함유된 염색체 또는 유전자의 전체를 호칭하는 말이다.

보건복지부·농림수산식품부·국토해양부·교육과학기술부·지식경제부·농촌진흥청은 27일 '포스트게놈 신산업육성을 위한 다부처 유전체 사업(이하 다부처 유전체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한 결과 추진 타당성을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그간 정체됐던 유전체 분야 정부 연구개발(R&D) 투자가 본격화, 2014~2021년 8년간 국고 5788억원이 유전체 연구에 투자된다.

이 사업은 ▲개인별 맞춤의료를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신약 및 진단치료기술 개발 ▲동·식물, 식품기반 미생물, 해양생물 등 각종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생명 자원 개발 ▲유전체 분석 기술 등 연구 기반 확보 및 조기산업화 촉진을 목표로 한다.

유전체 5대 분야(인간유전체·농생명자원·해양생명자원·기초원천·기반산업회)에 걸쳐 17개 사업이 추진된다. 이 중 부처간 연계·협력이 요구되는 5개 사업은 공동 연구 사업으로 추진된다.

공동 연구 사업에는 총 사업비의 17.9%에 해당하는 1035억원이 투입된다. 한편 유전체 기술은 대량의 유전 정보를 일시에 해독하는 장비(NGS)와 빅데이터(대량정보)를 다루는 IT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 유전체 해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극적으로 감소됨에 따라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특허·지적재산권 등 유전체 기술력 선점을 위해 각국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BT(바이오테크놀러지) 전체 예산 대비 유전체 비중은 일본이 5.8%, 미국 1.6%인 반면, 우리나라는 0.9%에 불과하다, 또 최고기술 보유국으로 여겨지는 미국 대비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은 57.7%에 불과하고, 기술격차는 4.2년에 달한다.

정부는 "다부처 유전체 사업 추진은 맞춤의료, 식량·에너지 자원, 새로운 소재 개발 등으로 미래 의료와 산업 시장을 바꾸는데 기여할 것"이라며 "전세계적인 유전체 기술개발 경쟁에 우리나라가 본격적으로 뛰어드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