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유방암 발병률이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한국유방암학회(이사장 송병주)가 10월 유방암 예방의 달을 맞아 내놓은 '한국인 유방암의 국내외 최근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10만 명당 38.9명꼴로 발생하던 유방암은 2012년 10만 명당 52.1명꼴로 급증했다.

반면 우리보다 먼저 서구화 추세에 접어들면서 장기간 동아시아 유방암 발병률 1위를 기록했던 일본은 2012년 10만 명당 51.5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한국이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유방암 발병률을 보인 것은 국제 암 등록 통계 집계 이후 최초다.

특히 만 15세에서 54세까지의 유방암 발생률은 일본을 넘었으며, 15세에서 44세까지의 환자 발생률은 미국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유방암 환자 발생 역시 1996년 3801명에서 2011년에 1만6967명으로 늘어나 15년 새 4.5배나 급증했다.

이러한 유방암 발병 증가는 생활습관의 급격한 서구화와 관련 있다.

실제 지방 섭취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strogen Receptor Positive, ER+) 유방암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암세포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꾸준히 반응, 성장이 촉진되는 것이 특징으로 발병 후 오랜 기간이 지나도 재발 위험이 있어 호르몬 치료가 필요한 유형의 유방암이다.

2002년에는 전체 환자의 58.2%였던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 비율이 2012년에는 73%까지 뛰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발병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특히 포화 지방 섭취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최근 발표한 해외 연구 결과를 보면 포화 지방 섭취가 많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약 30% 정도 높았다.

다행인 건 유방암 발병 위험이 커지고 있지만, 의학 기술의 발달로 유방암 사망률은 OECD 국가 최저 수준을 보인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유방암 사망률은 일본(9.8명)이나 미국(14.9명)보다 현저히 낮은 10만 명당 6.1명에 불과했다.

의료 선진국으로 꼽는 북미나 유럽 등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수치다.

비교적 초기에 속하는 0기나 1기에 암을 진단받는 비율이 2000년 32.6%에서 2012년 56.24%로 상승한 게 주요했다.

한국유방암학회가 발표한 병기별 5년 생존율 자료를 살펴보면 유방암을 0기에 진단받은 환자는 5년 생존율이 98.8%에 달했다.

1기(97.2%), 2기(92.8%)도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반면 4기 환자의 생존율은 44.1%에 그쳤다.

한국유방암학회 송병주 이사장(서울성모병원 유방센터장)은 "한국은 이제 서구 선진국과 함께 고위험 국가로 분류될 정도로 유방암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발병 양상이 급격히 서구화되고 있어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유방암 극복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예후가 아주 좋으므로 개인이 조절 가능한 위험 요인을 평소에 관리하고, 나이에 맞는 검진을 받으면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