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전주소리문화 관장

국악은 본디 왕의 음악이었다.

특히 왕과 상류층들이 좋아하였다.

가야금은 가야국의 가실왕이 만들었고 거문고는 우륵이 만들고 곡을 만들었는데 우륵의 당시 벼슬은 제2상 즉 부총리였고 조선왕조 세조실록 총서1권을 보면 세조가 피리를 부니 금성대군이 춤을 추고 종친들이 크게 기뻐하였다 라고 쓰여있다.

이렇듯 전통음악은 대궐의 담을 넘지 않고 귀히 계승되어오다 사대부들에 의해 궁 밖을 나온 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최후를 맞이 할 뻔 한다.

일제가 짓밟은 저급문화의 오명을 씻고 우뚝 서기 위한 노력은 이제 경제대국 10위의 국격에 맞는 전통음악이 되어 문화특별시 전주를 지탱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전통문화를 미래의 먹거리로 보고 또한 도정과 시정의 큰 축으로 여기는 현시점에 전라북도 엘리트 국악의 효시였던 우석대 국악과를 비롯하여 원광대 국악과, 백제대 국악과 등은 통폐합의 서슬아래 사라진 지 오래되었다.

전북은 전국적으로 유일하게 국악과 4개교를 보유한 유일한 도이기도 했다.

이러한 통폐합은 수십 년 후에 드러날 거라 예상했지만 벌써 심각한 예술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

문화는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

문화인력의 경력을 금배지 마냥 자랑스러워하는 것도 단기간에 성과를 보이진 않지만 일정 선만 넘어서면 엄청난 부가가치를 내뿜는 진정한 미래의 먹거리이기 때문이다.

국악과, 한국음악과의 통폐합과정을 교육부 탓으로, 저출산 탓으로, 취업률 탓으로 돌리며 방관한다면 현재 예술인력이라도 잘 보전하지 못하면 전통문화의 메카는 꿈도 못 꿔 보고 사라질 것이다.

필자는 1000만 관광객을 꿈꾸는 한옥마을의 문화지킴이로써 또한 전통문화 홍보자로서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너무 많이 온다.

그들은 별천지 같은 전주한옥마을의 전통문화에 푹 빠지고 싶은데, 보여주고 들려줄만한 장소와 인력이 너무 부족하다.

한옥마을 상업화, 국적없는 음식문화 탓을 항상 하는데 그들을 백지화 시킬 수 없다면 반대로 문화콘텐츠를 수시로 보고 느낄 수 있도록 예술풍선을 곳곳에서 터트려야 한다.

전주소리문화관장으로써 욕심은 휘몰아치는 관광객들에게 전통음악 공연을 한옥과 기와와 파란하늘이 동시에 보이는 야외마당에서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매일 매시간 쉼 없이 선사하고 싶다.

혹자는 그런다 그리하면 귀한 줄 모른다고, 아니다.

그렇게라도 끊임없이 들려줬기에 이제는 전통문화가 대접받게 되었고 한옥이 보이면, 한지가 보이면, 한식을 맛보기 전 전통음악이 먼저 그려지고 찾게 되는 것이다.

탄소가 미래의 성장동력이라고 엄청난 투자를 한다.

어느 누구에게 물어봐도 전통문화가 미래의 먹거리라고 한 목소리를 낸다.

다들 공감한다.

그렇다면 당연한 투자가 따라야 한다.

문화특별시 전주로 자리매김하려면 문화창조기업, 사회적기업 활성화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

예술단체를 만들어보고 창업을 해보고 협동조합을 구성해서 문화가 산업의 꽃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줘야 한다.

이제는 우리가 되짚어 볼 시간, 다음에 또 논할 여유가 없다.

우리의 젊은 문화 인력이 술렁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