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1만2천여 세대 85% 외지업체 분양 효천지구 아파트 용지 개찰 광주 우미건설 예상가 20~30% 상회 낙찰 역대 최고가 갱신 신시가지 경우 지역업체 낙찰 단 한곳도 없어

▲ 전주·완주 혁신도시 공동주택용지에 외지업체들이 공동택지를 최고가로 독식한 후 아파트를 짓고 있다./김현표기자

이슈 메인기사 이슈 메인기사최고가 경쟁 입찰을 통해 만성지구에 이어 전주효천지구 공동주택 용지까지 외지업체가 싹쓸이 하면서 도내 주택건설업계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LH 전북본부에 따르면 효천지구 공동주택 용지 개찰 결과 광주업체인 (주)우미건설이 A1·A2 블록을 낙찰 받았다.

A1블록은 6만2,529㎡로 25층 규모 60~85㎡형 1,147세대를 공급하며 공급 예정가격 715억9,571만원(3.3㎡당 377만원대), A2블록은 6만2,773㎡로 25층 규모 60~85㎡형 1,152세대로 공급 예정가격은 713억1,013만원(3.3㎡당 374만원대)이었다.

그러나 입찰 결과 A1블록은 예정 가격보다 146% 높은 1,045억2,974만원(3.3㎡당 551만원), A2블록도 146%인 1,041억1,279만원(3.3㎡당 547만원)으로 예정 가격을 크게 상회·낙찰됐다.

이는 전북혁신도시나 만성지구 낙찰율보다 20~30% 가량 웃도는 것으로 역대 최고가를 갱신했다.

또 A4블록은 7개 대형 건설업체가 응찰한 가운데 예정 가격(993억968만원)대비 141.7% 높은 1,322억1,981만원(3.3㎡당 551만7,797원)을 제시한 경기도 대방건설이 낙찰 받았다.

A4블록에는 중·대형으로 구성된 총 1370세대(60~85㎡, 85㎡ 초과 각 685세대)가 들어설 예정이며 효천지구 공동주택용지 중 가장 넓다.

전주 에코시티도 포스코건설과 상명건설, 태영건설 등 대형 외지업체들이 아파트 용지를 독식했고 만성지구 또한 중흥건설과 골드클래스건설이 낙찰 받았다.

이 때문에 막대한 지역자금 유출이 우려되고 있다.

도내 주택업건설업계는 효천지구 공동주택용지 낙찰 가격과 건설 원가, 금융비용을 감안하면 평당 분양 가격은 900만원 대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법조타운이 조성되는 전주 만성지구 공동주택용지 또한 최고가 낙찰제로 외지 건설업체들에게 공급됐다.

도내 건설업체들에게는 그림의 떡에 불과했다.

전북개발공사가 공급한 전주 만성지구내, 공동주택용지 2필지는 만성지구 중심지역에 위치해 있고 아파트 수요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평형인 전용면적 60~85㎡형 1,070세대와 85㎡초과형 615세대 등 총 1685세대 규모다.

특히 전주 만성지구는 법조타운이 조성되고, 혁신도시와 바로 인접해 있어 도시개발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 향후 전주 북부권역 부도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면서 도내 업체들이 눈독을 들였었다.

하지만 예정가격 이상의 최고가경쟁입찰로 토지공급이 이뤄지면서 또 다시 전북혁신도시에 이어 전주지역 마지막 노른자위 땅으로 인식됐던 만성지구 공동주택 용지마저 광주 전남지역 건설업체들이 차지했다.

앞서 최고가 경쟁입찰로 공동주택 용지가 매각됐던 전주 서부신시가지의 경우 지역 건설사들은 단 한곳도 낙찰을 받지 못하고 모두 외지대형 건설사들의 몫으로 돌아갔고 토지비용 부담이 커지만큼 아파트 가격도 올라 전주지역 최초로 3.3㎡당 600만원을 넘어섰다.

전주 하가지구도 전주의 노른자위 땅으로 인식되면서 건설사들의 과도한 가격경쟁으로 공급가격이 3.3㎡당 최고 460만원까지 치솟았다.

혁신도시 역시 공동주택 용지를 모두 외지건설사들이 차지하면서 도내 주택건설업체들은 안방까지 내주며 몰락의 길을 걷고 있고 아파트 가격 또한 3.3㎡ 당 720만원을 넘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사실 전주지역 노른자위 사업부지의 외지업체 독식 현상은 이미 예견돼 왔다.

지난 2006년 30만㎡ 미만의 공동주택용지는 지역 업체끼리 제한경쟁을 할 수 있다는 토지공급 규칙이 삭제된 현재의 상황이어서 모든 공동주택 용지 공급은 최고가 경쟁 입찰 방식을 통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외지 대형건설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본력이 약한 도내 주택업체들은 가격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고 안방을 외지손님을에게 내준 채 점점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이 때문에 도내 건설사들 사이에서 아중택지개발 지구의 경우처럼 일정 면적은 지역에 기반을 둔 업체들끼리 제한경쟁으로 택지를 공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도내 주택건설업계 관계자는 “도내 주택건설시장을 외지 대형업체들이 잠식하면서 도내 160여개 주택건설업체 가운데 90%이상이 개점휴업 상태에 머물고 있다”며 “만성지구 역시 외지 건설사들이 독식할 공산이 커지면서 아파트 가격 상승과 도내 주택건설사들의 몰락이 예고 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

 

▲대책은?

지역할당제 도입 시급

2006년 택지개발지침 폐지 지역자금 역외유출 23조원 비용증가=분양가 서민 몫

 

도내에서는 효천지구, 만성지구, 에코타운 등에서 공동주택단지를 공개 경쟁입찰 방식으로 분양했다.

그러나 자금력이 약한 도내 주택건설업체는 한 군데도 입찰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예전에는 30만㎡ 미만의 택지는 지역업체들끼리 제한 경쟁을 통해 공급할 수 있는 택지개발지침이 있었으나 2006년에 폐지됐다.

건설경기가 경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지역건설 사업이 외지업체에 지나치게 잠식당하는 현재의 방식으로는 취약한 지역의 악순환구조를 피할 길이 없다는 게 부동산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따라서 지역주택건설업계에서는 지역할당제를 다시 부활시켜 지역경기의 초석이 되는 주택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미숙 전주시의원은 " 주택산업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10%를 넘을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산업이다" 면서 전북주택건설사의 경영악화 탈피를 위한 특단의 지원책으로, 공공택지 지역할당제 도입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북도의회 또한 지역건설업 보호를 위한 ‘지역건설사업 활성화 촉구 건의안’을 지난해 채택하고 정부의 고강도 대책을 촉구했다.

전북지역 건설사업은 최근 10년 동안 전체 주택건설 물량의 85%가량을 수도권과 전남 광주 업체에 독식당해 겨우 15%만 ‘이삭줍기’식 사업에 의존하며 심각한 침체를 격으면서 최근 10년동안 매년 평균 약 1만 2천세대의 주택이 분양됐고 이중 85%는 외지업체에 의해 건설 분양된 실정이다.

이로 인한 지역자금의 역외유출액은 무려 23조원에 이른 것으로 추산된다.

도내자금이 한해 평균 2조원 이상씩 10년 동안이나 수도권이나 전남 광주지역으로 새어나간 것이다.

외지업체는 건설자재 등을 업체 소재 지역에서 조달받기 마련이어서 건설비용의 증가를 부추겨 고분양가로 이어지고 그 부담은 고스란히 지역민들의 몫으로 떠넘겨지는 문제점을 낳는다.

건설경기가 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지역건설 사업이 외지업체에 지나치게 잠식당하는 현재의 방식으로는 자본력이 취약한 지역의 악순환 구조를 피할 길이 없다는 점에서 . 지역할당제 도입이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김완수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