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창극단장 공개모집 진행 적격자 없자 나이제한 풀어 재공모 심사숙고 없는 모습에 행정력 비난 소리축제 개막작에 협조출연 거부 단독공연 의사 보이며 실랑이 전개

▲ 전라북도 도립국악원 전경

전북도립국악원의 비정상적 운영이 눈총을 받고 있다.

공모절차를 임의대로 변경해 행정의 일관성을 잃어버리고, 새로운 직제를 만들었지만 방치하는 바람에 예산낭비란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일의 중심에 있는 국악원장의 무능력한 행정력도 도마 위에 올랐다.

국악원은 이달 초 창극단장 공개모집을 진행했다.

현 단장이 이달 말 임기가 끝남에 따른 후속단장 채용절차다.

당시 국악원의 서류접수 요강을 보면 58세 이하로 연령 제한을 뒀다.

그 결과 단 3명만 응시했고 적격자 없음으로 결정 났다.

이에 국악원은 재공모를 하면서 연령 제한을 풀었다.

‘좀 더 많은 사람이 응시할 것’이란 판단에서다.

하지만 ‘연령 제한’을 마음대로 변경하자 일선에서 혼란이 제기되고 있다.

연령 제한에 대한 고민이 없었고 철폐 역시 심사숙고한 과정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1차 공모에 굳이 연령 제한을 둔 이유도 모르겠다는 것이다.

단 3명만 접수하는 바람에 수요 예측에도 실패했다.

2차 공모는 갑작스레 연령 제한이 없어졌다.

모집요강이 고무줄 줄고 늘어나듯 변경된 것이다.

행정의 공신력이 없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단장 중임제도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말도 있다.

국악원 운영조례의 단장 중임제한은 연령과 상관없이 단을 이끌 인재를 영입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1차 공모 때 연령 제한을 둬 역량 있는 인재를 스스로 차단한 결과를 낳게 됐다.

국악원 조례 취지를 국악원 스스로 이해하지 못한 셈이 됐다.

국악원 한 단원은 “당초 단장에 중임제를 적용한 것은 단원들보다 연륜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을 활용하자는 의미였다”며 “제한의 폭을 1차 공모 때부터 넓혔다면 예상치 못하게 훌륭한 인재가 올 수 있었다.

앞서서 제한한 것은 무척 아쉬움이 남는다”고 밝혔다.

2차 공모에 연령 제한을 없앤 것도 너무 경솔했다는 평도 나왔다.

모집요강에 문제가 있음을 스스로 자인한 격이며, 채용절차 매뉴얼이 없이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는 모습을 보인 꼴이 됐다.

졸속행정에다 공공기관으로서 공신력이 땅에 떨어졌다고 평이 나오는 이유다.

또 다른 단원은 “1차 공모에서 단장을 뽑지 못했으니 모집일정 차질은 불가피하게 됐다.

이렇게 된 거 심사숙고해서 후속 절차를 진행해야 하는데 무엇에 쫓기는 듯이 공모를 진행하고 있다”며 “연령 제한 철폐는 중요한데 실단장이나 자문위원에게 자문을 구했는지 궁금하다.

원장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편의대로 직제를 만들어 예산낭비로 이어진 경우도 있다.

국악원은 올해 초 관현악단장을 공모하면서 전임 관현악단장을 예술고문으로 발령냈다.

자칫 법정싸움까지 갈 양상을 띠었던 이 문제는 전직 단장을 예술고문으로 앉히면서 일단락됐다.

당초 직제에 없던 예술고문을 조례까지 개정해가면서 진행시킨 것이다.

문제는 급조해서 만든 자리다보니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점이다.

당초 예술고문은 넓게는 국악원의 3단을 통합한 예술자문 역할이고, 좁게는 관현악단과 관련된 자문역할이다.

하지만 현 예술고문은 이 역할을 하지 못할 뿐 아니라 이른바 간부회의인 실단장회의조차 참석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빈 방에 앉아 자리만 지키고 있는 꼴이다.

현재 예술고문은 실단장과 같은 5급으로 연봉이 6,000만원 선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정도 예산이면 관현악단 1년 정기공연 예산과 맘먹고 실기단원 3명의 연봉과 비슷하다.

자리를 급조해 만드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엄청난 예산을 낭비하는 꼴이 된 셈이다.

하지만 현 예술고문은 별다른 이상이 없는 한 정년까지 현 상황을 유지할 전망이다.

한 단원은 “없는 자리를 만들어 사람을 들여 앉힌 것도 우습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며 “국악원이 이렇게 예산이 남아도는 곳인 줄 몰랐다.

방치한 것에 대한 책임을 지고 해당인사에 대한 활용부분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주세계소리축제 개막작을 놓고 공연 주도권을 놓고 신경전을 벌인 사실도 드러났다.

소리축제 측이 국악원의 출연협조를 요청하자, 협조출연이 아닌 단독공연 의사를 보이며 실랑이가 전개됐다.

다행히 지난 주 수요일 협조출연으로 결론이 났으나 소리축제가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양 단체의 의견충돌로 개막작이 무대에 오르지 못할 상황까지 연출될 뻔 했다.

소리축제는 개막작과 관련해 연초 국악원측에 공연관련 협의에 들어갔다.

국악원 예술단이 개막공연의 중심적 역할을 맡게 되면서 출연이 불가피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국악원은 6월경 참여불가의사를 소리축제측에 밝혔다.

국악원 일정상 일방적 출연요청은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개막작이 국악원의 단독공연이 아닐 경우 참가가 어렵다는 게 실제 속내다.

 국악원장은 “우리가 소리축제만 위해서 있는 단체는 아니다.

예술단이 참여해 달라는 말만 있었지 구체적인 내용이 없었다”며 “특히 국악원을 초청한 공연인지, 국악원이 참여하는 새로 만든 공연인지 모르는 상태서 출연은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소리축제측은 “개막공연에 국악원 예술단이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한다.

지역인프라의 파워를 폭발시키자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며 “하지만 축제의 총괄적 기획은 소리축제에 있는데 국악원의 출연거부는 주도권에 의미를 둔 것으로 느껴진다.

개막공연은 누구에게 주도권이 있는 게 아니라 국악원과 소리축제가 함께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다행히 소리축제 개막공연에 참여하는 것으로 결론은 났지만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을 따갑기만 하다.

서로 낮만 붉힌 채 인심만 잃는 결과가 됐다는 것이다.

한 예술인은 “단독공연이든, 초청공연이든 출연하려면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거부했으면 끝까지 거부할 것이지, 서로간 애간장만 녹이는 꼴이 됐다”며 “국악원은 전북도민을 위해 존재하는 단체다.

이번 일로 인해 도매급으로 욕을 얻어먹는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조석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