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에 따른 추가 조치로 개성공단 전면 중단을 발표하자 입주기업 관계자들은 망연자실한 표정이다.

약 160일간의 가동 중단으로 노심초사했던 2013년의 악몽이 재연됐기 때문이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인 A업체 관계자는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기업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개성공단이) 유지돼야 한다는 한결같은 입장이었는데…"라고 말끝을 흐리며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특히 입주업체 관계자들 대부분은 설 연휴 마지막 날 발표된 조치에 한층 더 당황스럽다는 입장이다.

역시 개성공단에 입주한 B업체 관계자는 "오늘까지 공단이 쉬고 내일부터 가동되는데 (가동) 하루 전날 이런 상황이 되니 당혹스럽다"며 "(전날까지 개성공단 가동 중단과 관련된) 언질도 받은 게 없었다"고 말했다.

입주기업에 따르면 설 연휴에는 180명 정도가 남아 공단을 지켰으며 11일부터는 다시 600여명이 공단으로 들어가 조업을 이어갈 예정이었다.

지난달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평소보다 200명 정도 줄어든 인원이었지만 조업은 차질없이 이뤄졌다.

B업체 관계자는 "정부가 완성된 제품이나 자재를 가져올 수 있게 공단에 트럭의 출입을 허락해 준다고 해도 북측에서 어떻게 나올지 모른다"며 "특히 기계 설비는 평소에도 북측에서 반출을 허락지 않던 것"이라고 우려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 임원진 20여명도 이날 정오께 서울 삼청동의 한 식당에서 만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따른 개성공단 폐쇄 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지만 오후 들어서야 정부의 정확한 입장을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홍용표 통일부장관은 이날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협회 관계자들을 만나 가동 중단 조치의 필요성을 설명했지만 이 자리에 참석한 기업 관계자들은 정부의 방침에 불만을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오후 2시에 시작된 면담은 3시20분이 넘어서야 끝났고 협회 관계자들은 홍 장관이 자리를 뜬 이후에도 1시간 이상 머물며 대책을 논의했다.

입주기업 C업체 관계자는 "우리 회사는 현재 개성공단에서만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며 "국내에 조그맣게 다른 공장을 돌리는 회사도 있지만 어떤 형태이건 간에 상당한 손실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2013년 통일부 발표에 따르면 당시 234개 입주기업은 개성공단 가동 중단으로 1조566억원의 피해를 봤다고 신고했다.

증빙자료를 통해 객관적으로 확인된 피해 금액만도 7천67억원에 달했다.

입주기업 D업체 관계자는 "2013년에는 정부 배려가 없었는데 이번에는 남측에서 내린 결정인 만큼 (고용이나 금융비용 등을) 배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이날 오후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 조치에 불만을 표시하며 재고, 설비 등 입주기업의 재산 피해가 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피해가 얼마나 발생할지는 시간을 갖고 정리해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이렇게 갑작스럽게 조치를 취하면 완제품이나 원부자재, 설비에 대한 (회수)조치가 어렵다"고 말했다.

박창수 개성공단기업협회 이사는 "(재고•생산설비 회수 가능성은) 북측의 대응을 봐야 한다"며 "우리가 일방적으로 출입을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오늘 저녁이나 내일 아침 북측의 대응을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협회는 11일 이번 조치와 관련된 긴급이사회를 개최한다.

전체 입주기업이 참여하는 비상대책위원회는 15일께 첫 회의가 열린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