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진한 지역 특구 활성화 지역특구발전협의회 구성

지역개발과 국토의 균형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지역특화발전특구(지역특구) 개발을 전북도가 활성화하겠다며 재정비에 들어갔다.

하지만 사업활성화의 관건인 기반시설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국가보조사업을 발굴, 국비를 확보해야 하는 만큼 정부차원의 지원이 시급하다.

24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는 지역특화발전특구 제도를 확산시키기 위해 14개 시.군별 정비에 들어갔다.

각 시·군 특구 담당과장으로 구성된 ‘전북 지역특구발전협의회’를 꾸리고, 특구 활성화를 위한 계획 수립과 지역특구발전협의회 등도 열 계획이다.

또한 전북연구원과 함께 기존특구 활성화와 특구 지정 확대, 특화사업 발굴 등 특구 활성화를 위한 방안 등도 마련할 방침이다.

도내에는 1997년 지정된 무주 구천동 및 정읍내장산 등 관광특구 2개소와 순창장류산업을 포함한 지역특화발전특구 16개소, 연구개발특구 1개 등 총 19개소의 특구가 지정돼 있다.

하지만 사업 활성화의 관건인 예산과 세제지원, 기반시설 투자가 이뤄지지 않은 탓에 대부분 겉돌고 있다.

이 사업은 정부가 지난 2004년 전남처럼 개발이 뒤떨어진 곳의 특성을 살려 균형 발전을 꾀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다.

그러나 10년이 흘렀어도 인프라 구축 등이 이뤄지지 않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 여건을 최대한 활용한 순창 장류산업과 고창 복분자산업, 전주 한스타일산업 등만 그나마 주민 소득과 일자리가 일정 부분 늘어 우수 사례로 꼽혔다.

도에서는 성과분석을 통한 국비 보조사업을 발굴하고 사업화 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지만, 결국 국가예산 확보와 연계돼 있어 정부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성패를 좌우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이에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전문가들과 함께 운영중인 특구를 점검하고, 활성화를 위한 자구책에 나설 방침”이라며 “지역 여건에 맞는 선별적 지원으로 실질적인 보탬이 되도록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