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자원봉사활동이 행정편의성 형태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주시 자원봉사센터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주시 자원봉사 등록인원은 17만1,297명으로 전체인구 65만2,282명 가운데 26.2%에 해당한다.

이 가운데 한 번 이상 봉사활동에 참가한 실제 인원은 5만8,390명으로 34.09%를 보였다.

연인원 33만6,939명의 총 봉사시간은 150만334시간에 이른다.

이를 지난해 기준 최저시급인 5,580원을 곱한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면 83억여원에 달하고 있다.

자원봉사 등록인구와 실제 참여인원, 총 봉사시간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원봉사가 시민의 생활문화로 정착되고 있다는 반증이다.

문제는 일정한 비중을 차지하는 학생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이 기본 취지에 걸맞지 않게행정편의성 형태로 변질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천 위주의 인성교육을 강화하고 다양한 경험과 삶의 보람을 느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실시하는 본래 의도에서 벗어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중학생은 18시간, 고등학생은 20시간 이상 봉사활동을 실시해 내신성적에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전주시는 청소년 봉사활동을 봉사활동 이수시간 내신 반영이라는 준 강제성을 활용해 업무와 행정편의성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전주시 산하 일부 사업장의 경우 유급종사자가 해야 할 업무를 자원봉사자들을 모집해서 진행하고 있다.

최대 8시간 까지 업무를 지시하면서 점심조차 제공하지 않는 사례도 있다.

이 같은 행태는 전주시 주관 행사에서도 자원봉사 인정시간을 빌미로 학생들을 동원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규모 행사에 사람을 모으는 방법으로 봉사활동 인정시간 4시간을 행정에서 제공한다는 것은 학생들에게 솔깃한 제안이 아닐 수 없다.

자원봉사 활동을 내신 반영이나 스펙으로 활용하기 위한 청년들에게 일정 시간을 정하지 않은 채 1일 최대 15시간의 무리한 근무를 시키고도 고작 1만원만 지급한 지프지기 운영사례도 나왔다.

‘자원봉사활동 기본법’과 ‘전주시 자원봉사활동 지원조례’에 따르면 자원봉사는 국민의 협동적인 참여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무보수성과 자발성, 공익성, 비영리성, 비정파성, 비종파성 등의 원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에 대해 전주시의회 박형배 의원(효자3·4동)은 “전주시가 자원봉사 도시로서의 위상에 걸맞게 즐겁고 행복한 자원봉사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행정기관의 자원봉사에 대한 잘못되고 편향된 인식부터 바로잡는 깊은 성찰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 같은 변질된 자원봉사 활동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확한 현실진단과 전문적인 지도감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신우기자 lsw@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