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20대 첫 정기국회에서 대야(對野) 강경 투쟁을 예고했다.

      여소야대 구도에서 수적 우위를 앞세운 거대 야당의 '위세'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특히 정세균 국회의장이 정기국회를 개회하면서 현안인 사드 문제와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문제에 대해 야당의 노선을 두둔하는 듯한 발언을 하자 강력히 반발하고 사과를 요구하고 나선 것은 초반 기싸움에 밀리지 않으려는 의도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지난 6월 20대 국회 개원 이후 주요 고비 마다 야당에 '발목'을 잡히거나 '뒤통수'를 맞았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4•13 총선 이후 여야 3당의 원내대표가 4차례 합의문을 썼지만, 이 가운데 3차례가 파기된 것은 바로 야당의 '횡포' 때문이라는게 새누리당의 시각이다.

      야당(국민의당) 요구로 정부가 제출한 추가경정예산안이 본예산 제출 직전인 1일 가까스로 확정됐으며, 새누리당은 이를 위해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청문회'와 '백남기 농민 사건 청문회'를 열자는 야당의 요구를 받아들여야 했다.

      추경안 심사 과정에서도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가 국가채무 상환 재원 1조2천억원을 6천억원으로 줄이고 나머지를 지방교육채무 상환으로 돌리는 안이 야당 단독으로 처리되자 새누리당은 "날치기"라고 반발했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결국 이를 원상 복구했지만, 야권이 뭉치면 정부•여당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여소야대의 '엄혹한 현실'을 절감한 셈이다.

      앞서 지난 7월 환경노동위원회에선 '노동개혁' 홍보비 집행에 대한 국회 차원의 처벌 촉구가 여당의 반대에도 야당 단독으로 통과했다.

      또 사드 배치 같은 안보 문제나 우병우 민정수석의 거취 등 민감한 이슈를 놓고 새누리당은 두 야당의 '협공'에 고스란히 노출된 상태다.

      의회 권력도 야당에 기운 상태다.

더불어민주당 출신 정세균 의장은 이날 정기국회 개회사에서 우 수석 논란에 "참으로 부끄럽고 민망한 일"이라고 언급하고, 사드 배치에 대해서도 "국론은 분열되고 국민은 혼란스러워 한다"고 발언한 것은 야당에 힘을 실어주는 발언으로 해석될 수 밖에 없다.

      새누리당은 이번 정기국회에서 야권의 공세를 정면돌파할 방침이다.

야당에 끌려다닐 경우 정국의 주도권을 잃고, 내년 대선까지 수세에 몰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이번 정기국회는 내년 대선을 감안하면 박근혜 정부의 성과를 낼 수 있는 사실상의 마지막 정기국회"라며 "야당의 일방적 요구, 합의 파기, 약속 뒤집기가 되풀이되면 불관용의 원칙으로 단호히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정 의장의 발언에 대해서도 의원총회를 소집해 강력히 규탄하면서 정 의장이 사과하지 않으면 의사일정을 전면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야당 집권은 국가적 불행'이라는 프레임으로 안정적인 정권 재창출을 호소하면서 지지층을 결집하겠다는 전략이다.

      교문위 소속인 이장우 최고위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야당이 원내 다수당인 지금도 저런 지경인데, 정권까지 잡으면 오만함이 극에 달할 것"이라며 "국회가 난장판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 원내대표도 추경안 처리 합의가 파기되자 지난달 23일 "의회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행태가 지금 벌어지고 있다.

이러고도 (더민주가) 수권을 꿈꾸느냐"고 비판했다.

      문제는 대야 투쟁의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집권 여당으로서 국회를 장기간 파행으로 몰고 가기에는 부담이 따른다.

결국 강력한 응집력으로 '야성'(野性)을 발휘하는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다.

      정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야당의 거리낌 없는 일탈과 횡포에 맞서는 길은 우리가 '천막당사 정신'으로 되돌아가는 길뿐"이라며 "결속, 화합, 단결하는 게 유일한 대처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