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와 더불어 살다 떠난 소리꾼 권삼득

▲ 조선후기 판소리 대명창인 권삼득은 완주군 구억리 출신이다. 정갈하게 정리된 묘 앞엔 살아생전 권삼득의 삶을 알리는 비석이 서 있다.
▲ 소리연습을 했던 조그만 굴

매일 출근하는 길이 권삼득로다.

권삼득로는 명창 권삼득의 이름을 따 명명됐으며, 전주고등학교 앞에서 덕진동 호반촌까지 이어지는 길이다.

명창 권삼득과 인연이 있을 거란 막연한 생각만 하던 차였다.

또 전북도립국악원 앞에 권삼득 기념비도 있으니 별다른 의구심을 가지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야 알게 됐다.

권삼득로는 명창 권삼득과 어떤 연관도 없음을 말이다.

단지 국악원 앞에 기념비가 있다는 이유로 도로명이 부여됐음도 알게 됐다.

알려지다시피 명창 권삼득은 완주군 구억리 출신이다.

조선시대 정조, 순조 때 활약한 판소리 8명창 중 한 사람으로 통한다.

양반 집안 출신으로 소리공부를 하다 집에서 쫒겨난 일화가 있다.

누구에게 소리를 배웠는지 정확한 계보는 전해지지 않지만 판소리 ‘설렁제’란 특이한 소리제를 낸 것으로 유명하다.

이 소리는 높고 길게 질러 내는 것으로 매우 씩씩하고 경쾌한 느낌을 준다.

무가(舞歌) 계열이 하는 소리를 양반이 하니 그를 가르쳐 비가비 명창이란 칭호도 얻게 된다.

생가터는 깨끗하게 보존돼 있다.

생가터 옆엔 ‘권삼득 생가터 보존위원회’란 팻말도 볼 수 있으니 따로 관리하는 사람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생가터 안내문엔 ‘조선후기 판소리 대명창인 권삼득 선생이 태어난 마을이다.

사람, 새, 짐승의 세 소리를 터득했다 해 삼득이라 불리었으며 본명은 정이다.

양반출신 광대로 새타령을 하면 숲 속의 새가 날아다녔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는 글귀를 볼 수 있다.

뒷산으로 오르면 권삼득 명창의 묘와 소리굴을 만날 수 있다.

어린 시절 소리연습을 했다는 조그만 굴인데 한 사람이 들어 않을 정도의 규모다.

명창은 이 곳 뿐 아니라 소양면의 위봉폭포나 남원 육모정 등에서 소리연습을 했다고 한다.

조금만 더 오르면 권삼득 명창 묘가 나온다.

정갈하게 정리된 묘 앞엔 묘 주인을 알리는 비석이 서 있다.

묘비에는 ‘소리가 좋아 소리를 위해 태어난 인생이라 양반도 싫고 벼슬도 싫어 오직 소리와 더불어 살다 간 비가비 권삼득 명창, 한많은 세상 맺히고 서리 애환 접어두고 여기 고이 쉬나니’라 적혀있다.

그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세 가지 소리를 득음할 때까지 얼마나 많은 고생을 했으며, 양반 출신으로 소리를 하는 것에 대한 사람들의 시선을 어떻게 견디고 살았는지 애석한 마음이 든다.

죽은 지 3일 후부터 권삼득의 소리가 들리고 그 소리가 밤새 메아리 쳤다는 설화를 볼 때 소리에 대한 그의 사랑과 애정이 얼마나 컸는지 어렴풋이 짐작만 할 정도다.

/조석창기자 

▲ 권삼득 생가터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