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신생기업 중 절반가량이 한 해도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고 있다는 소식이다.

특히 도내 신생기업의 5년 이상 생존율이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최하위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무분별한 공급위주의 창업지원 등을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2013년 기준으로 도내 신생기업들의 생존율은 1년차 58.3%와 2년차 46.1%, 3년차36.2%, 4년차 30.5%, 5년차 27.3%를 기록했다는 게 통계청 조사 결과다.

전국 평균 생존율은 1년차 60.1%를 기록하는 등 해마다 지역과 1.8~2% 격차를 보이고 있다.

그만큼 지역에서 신생기업의 생존확률이 낮다는 의미다.

특히 지역 신생기업의 생존율은 전국 지자체 중 최하위수준을 기록했다.

도내 신생기업의 5년차 생존율은 광주(26.1%)와 대전(25.6%)을 제외하고,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도내 소멸 기업은 도·소매업이 6천518개로 가장 많았다고 한다.

그 다음으로 숙박·음식업 4천826개, 부동산·임대업 2천794개 등 순으로 집계됐다.

도내에서 한 해만에 문을 닫은 신생기업은 2만605개 기업에 달했다.

반면, 같은 해 문을 연 신생기업은 2만3천150개를 기록했다.

한 해 창업기업 중 89% 가량이 문을 닫았지만, 창업기업이 소멸기업 수를 넘어서면서 전체 기업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도내 기업은 지난 2013년 17만1천74개소에서 2014년 17만8천892개소 증가했다.

창업과 폐업을 반복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무분별한 창업지원을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들을 내놓고 있다.

정부를 넘어 자치단체에서는 각종 창업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창업을 위한 컨설팅부터 이자보전, 대출지원 등 다양한 형태로 창업을 경쟁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자치단체의 이런 지원은 달리 말해 한 해도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는 신새기업들에 퍼주고 있다는 소리와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이런 무분별한 지원을 최소화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경쟁력 있는 신생기업을 지원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준비가 덜 된 창업과 경기불황 장기화라는 복병이 만나 경영난 가중으로 폐업까지만 하면 좋으련만 빚더미에 앉는 경우가 태반이다.

이럴 경우 폐업자 본인 뿐 아니라 종업원들과 가족까지도 그 피해를 입게 되는 게 다반사다.

무분별한 창업과 이를 위한 각종 지원 대신 선택과 집중을 통해 경쟁력을 있는 신생기업을 살리는 일이야말로 지금 시점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