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이후 7년만에 상승세 품목 다양성 확보 과제 남아

전북지역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이 7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친환경농산물 확산을 위해 인증품목의 다양성 확보와 판로확대 등 여전히 해결과제들로 제시되고 있다.

24일 농림축산식품부와 전북도에 따르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유기·무농약)이 2015년 6천568ha에서 2016년 6천799ha로 상승했다.

지역은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난 2009년까지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유기·무기·저농약, 1만2천563ha)이 지속적으로 늘어왔다.

하지만 지난 2009년 이후부터 저농약 농산물 인증이 단계적 축소돼 왔고, 이어 지난 2015년 저농약 인증이 폐지되면서 인증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유지했다.

연도별로 지난 2009년 인증면적이 정점을 찍은 후 2011년 1만560ha, 2013년 8천667ha, 2014년 7천180ha 등 매년 감소했다.

이 같은 상황을 극복하고 7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하지만 지역에서는 인증면적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여전히 많은 해결과제들이 제시되고 있다.

당장 품목의 다양성 확보의 문제다.

쌀 등 인증품목이 곡류에 집중되고 있으면서다.

쌀의 인증면적은 전체 인증면적의 60% 전후를, 곡류의 생산량 또한 해를 넘길수록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0년 친환경농산물 곡류의 생산량은 3만91톤, 과실류 3만9천528톤, 채소류 4만1천850톤으로 집계됐다.

2010년을 전후로 채소류와 과실류의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이 곡류의 생산량을 웃돌았다.

그러나 상황이 역전돼 지난 2015년 곡류의 생산량은 2만430톤, 과실류 4천383톤, 채소류 6천425톤까지 감소했다.

해를 거듭하면서 인증품목이 확산돼야 정상이지만, 오히려 품목이 곡류로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판로역시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보통 친환경농산물은 농산물에 비해 생산량이 적어 높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판로확보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정상적인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의견이다.

완주군에 위치한 농협 RPC(종합미곡처리장) 한 관계자는 수매한 친환경 쌀 중 20~40%를 매년 일반 쌀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일부 농가에서는 판로를 확보하지 못해 정상가격을 받지 못하고, 일반농산물과 함께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민단체 한 관계자는 “한때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았지만 판로확보 등이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관심이 줄고 있다”면서 “수도권을 공략하는 등 판로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공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훈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