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본-음악-연출 많은 변화 시도 음악 활용 대비 대중 큰 어필 못해 여전히 기승전결 극의흐름 아쉬워

▲ 국립민속국악원의 <나운규, 아리랑>이 새 옷으로 갈아입고 시즌2로 찾아왔다. 시즌2에서는 극본을 보완했으며, 황호준 작곡가가 새롭게 합류해 극본과 음악이 바뀌면서 연출에도 많은 변화를 줬다.

국립민속국악원의 <나운규, 아리랑>이 새 옷으로 갈아입고 시즌 2로 찾아왔다. 시즌 2에서는 극본을 보완했으며, 황호준 작곡가가 새롭게 합류했다.

극본과 음악이 바뀌면서 자연스럽게 연출에도 많은 변화를 줬다. 시즌 1의 <나운규, 아리랑>은 이야기 구성이 복잡하고, 관객들이 내용을 따라가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제기됐다. 그런 점에서 시즌 2는 시즌 1보다 쉽다.

극이 시작되기 전 자막으로 작품이 이중구조로 돼 있다는 설명을 해주며, 장면이 전환될 때 무대의 시계 오브제와 함께 음악의 변화로 관객들을 환기시킨다.

이 작품은 창극배우 나운규의 삶과 대중이 익히 알고 있는 과거 나운규의 삶이 교차된다. 이중구조로 극이 계속 현재와 과거를 넘나드니 이 부분에서 연출진들의 고민도 많았을 것이다.

시즌 1에서 활용했던 무대의 시계 오브제를 좀 더 적극적으로 이용하면서 시즌 1보다 시계의 의미를 더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음악의 활용도도 높아졌다. 시즌 1에서 제작진들은 아리랑 음악을 적극적으로 홍보했음에도 실제로 음악은 대중에게 큰 어필을 하지 못했다. 무대를 끝마친 이후에도 아리랑이 연주됐었나 하는 물음표를 던질 정도였다.

그런 점과 비교하자면 시즌 2의 아리랑은 더욱 극적이다. 아리랑 음악으로 극 전환을 시도하는 등 관객들에게 아리랑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특히 방수미 명창의 구슬픈 아리랑 소리는 관객의 마음을 울린다. 창을 많이 접하지 못했던 관객들이라면 명창의 목소리로 듣는 아리랑의 색다른 매력을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실제 라이브로 소리를 하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기악단 자리를 보며 방 명창을 찾을 정도였다. 음악이 극의 부족한 점을 메꿔주지만 그래도 여전히 극의 기승전결은 아쉬운 부분이다.

첫 시작에서 창극배우 나운규가 화려했던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는 장면에서는 여러 배우들이 출연하며 관객들의 몰입을 유도하지만 오래가지는 못한다. 너무도 잔잔한 극의 흐름은 관객의 시선을 오래 붙잡지 못한다.

앞서 제작진은 시즌 2에서 나운규의 천재성을 좀 더 부각시켰다고 밝혔지만 어느 부분에서 그의 천재성을 확인해야 하는 것인지 어리둥절하다.

관객들이 나운규에게 감정이입을 할 수 있는 개연성이 부족하다. 나운규의 마음을 이해하고 동화했다면 그의 죽음에 슬퍼해야 했고, 마지막 장례식장 장면의 검정 옷, 검정 우산, 하얀 눈의 설정이 더욱 감동적이고 아름답게 느껴졌겠지만 그러질 못했다. 아쉬움이 남는다.
/윤가빈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