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전북혁신도시를 서울·부산에 이은 제3의 금융 중심지로 탈바꿈하기 위해 시동을 걸었다는 소식이다.

545조원을 주무르는 기금운용본부가 이달 말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하면 증권사와 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뒤따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도는 기금본부와 금융회사들이 집적하는 혁신도시를 ‘농·생명 금융투자의 허브’로 기능하는 금융타운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전북의 강점인 농·생명산업 육성을 위해 금융타운이 관련 기업과 공공기관의 연구(R& D)·투자에 특화금융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전북혁신도시에는 이미 농촌진흥청을 비롯해 농업과학원, 식량과학원, 축산과학원, 농수산대학 등이 들어섰다.

또 인근 김제 민간육종단지에는 종자 산업진흥센터·공동 전시포를 비롯해 20개 관련 기업이 둥지를 트는 등 관련 산업과 연계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가 기금운용본부 이전을 계기로 전북을 미래 금융산업 거점으로 육성하려는 것은 막대한 적립금과 이에 따른 지역 경제 발전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말 기준 기금운용본부의 기금은 총 545조원. 전 세계 연기금 중 3위로 2043년에는 기금적립금이 2천561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금융시장에서 '큰 손 중의 큰 손'이 되는 기금본부의 영향력이 막강할 것으로 도는 예상하고 있다.

2014년 한국금융연구원은 기금운용본부의 전북 이전으로 투자는 최대 5천534억 원, 지역 내 총생산(GRDP)은 최대 4천522억원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도 채권·주식 등 금융상품뿐 아니라 사회간접자본 투자 등을 위해 국내·외 340여 개의 거래 기업·기관의 회의 행사나 방문객 증가로 전북의 마이스(MICE, 회의·관광·컨벤션·전시) 산업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전북도는 우선 연기금과 농·생명을 특화한 '제3의 금융중심지'로 지정받기 위해 '금융중심지의 조성과 발전에 관한 기본 계획' 반영도 병행해 추진할 방침이다.

또 전북의 특성을 살린 마이스 산업을 육성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음 달 전문기관에 용역을 맡길 계획이다.

농생명과 제3금융, 지식·공간·문화서비스 등 3개 분야의 성장 거점이 되는 트라이 앵글 허브로 성장할 혁신도시. 이 혁신도시가 기금운용본부를 비롯한 3개 분야 어젠다를 통해 전북의 새로운 성장 가능성에 이바지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