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탄핵과 함께 각 정당의 대선 주자들이 나서며 그 여느 때보다 대선은 혼전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북에서는 ‘전북 몫 챙기기’ 목소리가 올 대선의 어젠더로 명명되며 그 어느 때보다 목소리가 뜨겁다.

30년 넘게 대통령 선거 때마다 단골 공약으로 나왔던 새만금사업. 올해는 정부 주도로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는 후보로부터 적극지원을 확약 받아 더 이상 행정력을 소모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 몫 찾기’ 역시 올 대선을 계기로, 확실하게 알려 그간 만연돼 왔던 광주·전남 예속화의 악순환 고리를 끊어내야 한다는 지적이다.

호·영남 대립 관계와 호남의 변방이란 틀에 갇혀 소외돼 왔던 전북은 그동안 정책, 예산, 인사, 행정기관의 위상, 정치적 대우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서 영남에 치이고 광주·전남에 밀렸던 게 사실이다.

호남 몫은 요구했지만, 번번이 광주·전남에 밀려 ‘전북 몫’은 챙기지 못했다.

올 대선을 계기로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전북 몫’을 확실히 챙겨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오지 않을 이번 대선 국면에서 도와 정치권이 지역의 내실을 꾀하기 위해 적극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무엇보다도 전북의 ‘독자 권역화’에 대한 도민들의 의지가 대권주자들에게 각인되는 요로들을 파악, 제목소리를 피력해야만 한다.

전북 몫 찾기의 시작은 어찌 보면 정부 인사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주요 중앙부처마다 전북출신 고위 공무원의 공백이 확인되며 지역 인재의 고른 안배와 균형에 역행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사실상 정부의 정책수립과 예산반영 등이 고위공무원을 통해서 결정 또는 반영되는 상황에서 지역의 입장을 대변하고 반영해 줄 수 있는 통로가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고위공무원 발탁 또는 승진이 정치적 상황을 일정부분 고려해 결정되는 점을 감안할 때 지역출신 배제는 정치적 결정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는 다시 지역의 입장을 반영해 줄 인적 네트워크가 부족하다는 의미로 재해석되고 있다.

지역과 관련한 예산반영과 정책수립, 각종 공모사업 등의 과정에서 실질적인 불이익을 받지 않았다고 가정해도, 지역주민들의 소외감이 발원하는 원인으로 충분히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북 몫 찾기’ 운동은 바로 이런 정부의 인사에 있어 제 몫을 찾는 일에서부터 시작되어야하는 것이다.

주사위는 던져졌다.

이제는 도민의 표심으로 도의 이익을 위해 도에 이익이 되는 대선주자가 누구인지 눈여겨 봐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